초록
우리나라에서 암석의 사회적 이용측면에서 대중화된 것 중 하나가 음식점에서 흔히 사용하는 돌그릇이다. 이 돌그릇은 대부분이 Mg과 Ca 함량이 높은 각섬암으로 제작되었으며, 주구성광물은 각섬석, 양기석, 투각섬석, 사장석, 투휘석이다. 각섬석은 대부분 주상으로 산출되며, Mg-각섬석 내지는 쳐마카이트의 광물조성을 보인다. 양기석과 투각섬석은 단경/장경 비가 $0.10{\sim}0.13$인 침상의 조직을 보이며, Mg/(Mg+Fe) 비가 약 0.65-0.90의 범위를 보인다. 이런 침상의 양기석과 투각섬석은 비석면형에 속한다. 이 광물들을 함유한 암석을 음식 용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성광물의 종류와 결정형태와 같은 암석학적 또는 광물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그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한 품질기준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음식용기 제작에 사용되는 원석과 상업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곱돌의 산출상태와 암석-광물 화학성분의 상이성은 현재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곱돌 음식 용기들이 원석 채취지역이 불분명한 암석으로 제작되었음을 지시한다. 이것은 음식용기로 부적합한 각섬암이 음식 용기로 사용될 잠재적 위험성이 있으며, 따라서 인간의 생활/건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사용하는 암석의 지질학생물학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관리와 조사가 요구된다.
Rock bowls and pots used in restaurants are one of the popular usages of natural rocks in Korea. Most rock bowls and pots are made of Mg- and Ca-rich amphibolite composed of hornblende, actinolite, tremolite, diopside, plagioclase. Hornblende occurs as prismatic crystal habit, and belongs to Mg-hornblende to tschermakite. Actinolite and tremolite occur as acicular form (aspect ratio $0.10{\sim}0.13$), and ranges 0.65 to 0.90 in Mg/(Mg+Fe) ratio. These acicular actinolite and tremolite are non-asbestos minerals. However to use of rocks containing these minerals as tableware it is needed to regulatory guidelines for stability and utility based on petr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Discrepancy of rock occurrence and mineral chemistry between commercial rock bowls and original rocks indicate that most rock bowls are made of uncertain amphibolite in original location. Consequently, there is a potential risk to use inappropriate amphibolites as tableware. Therefore, it is needed to systematically research on geology and biology, and manage commercial rock bowls and pots used in Korean restaur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