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ourist Destination Remodeling: Gossi-Cave in Yeong Wol

동굴관광지 리모델링 개발사례 연구 - 고씨동굴 관광지를 대상으로 -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ourist destination remodeling project is the tourist destination activation program to promote underdeveloped tourist destination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has been implementing as a pilot program since 2005. Since previous tourist destination development programs focused on developing facilities, they could not quite cope with the changes in the tourism paradigm. Especially for caves, they could not escape from the simple sightsee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ource were fit to the caves. These results failed to meet tourist demands to experience and participate that the number of tourists is continuously decreasing. To cope with the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introduced a pilot program, a comprehensive tourist destination reorganization plan designed to comprehensively promote the tourism contents development (software) that can differentiate the region such as the tourism activation programs, tourist destin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 reorganization (humanware) along with the repair of facilities (hardware project). This study emphasize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ho are the actual subject of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ourist facilities and programs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master plan for remodeling for Gossi Cave that it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for establishing remodeling plan based on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고종화, 2006, 관광지개발의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0(6), 156
  2. 김성길, 1995, 영월군 괴골굴의 개발타당성에 관한 연구, 동굴 40(41), 39-57
  3. 계기숙, 천현숙, 2001,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4. 동해시, 1996, 동해시 천곡동굴의 환경보존 및 안전 진단
  5. 우경식, 2000, 한국 자연동굴의 가치증대와 보존방향, 동굴자원의 보존과 가치증대를 위한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137
  6. 유영진, 2002, 동굴자원의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 관광연구논총, 14, 119-140
  7. 윤양수, 2003, 우리나라의 관광지 개발실태와 개선 방향, 국토 Vol. 263, 7
  8. 윤정숙, 신수영, 김수정, 김석경, 앤드류 사이델, 2006, 공동주택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단계별 리모델링을 위한 거주자 의식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8), 11
  9. 이무용, 1997, 도시개발의 문화전략과 장소마케팅,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사회 8호, 197-231
  10. 이희연, 차승훈, 2004, 동굴관광지의 지속가능성 지 표설정과 적용방안, 관광학연구, 27(4), 331-352
  11. 최승담, 신정미, 2002, 낙후관광지 활성화수단으로서 재개발방식 적용에 관한 고찰, 관광학연구, 25(4), 34
  12. 최영희, 이훈, 2006, 동굴관광 영향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적용, 관광학연구, 32(3), 231-254
  13. 홍시환 외, 1997, 삼척 월둔굴의 개발구상, 동굴 50, 45-76
  14. 홍충렬, 김원진, 2001, 관광동굴의 이미지 및 행태 특성, 호텔관광연구, 7, 135-153
  15. 대한주택공사, 2001, 리모델링에 대비한 벽식 공동 주택의 기준설정 연구, 18-19
  16. 문화체육관광부, 2006, 관광지 리모델링사업 보도자료
  17. 문화체육관광부, 2007, 2006 관광동향 연차보고서, 112
  18. 문화관광부, 2005, 관광지 리모델링 활성화 전략, 14
  19. 영월군, 2006, 고씨동굴관광지 리모델링 기본계획, 17
  20. 정선군, 1995, 정선 화암동굴의 환경보존 및 안전진 단 학술조사 연구보고서
  21. 한국관광연구원, 2001, 관광지 평가체계 개발 및 운영방안
  22. 한국동굴학회, 2000, 전국자연동굴 조사지침서 작성에 관한 연구보고서, 환경부
  23. White, W. B., 1984, Rate process: chemical kinetics and karst landform development, In: R. G. La Fluer, ed., Groundwater as a Geomorphic Agent, Allen & Unwin, Boston, 227-248
  24. Gillieson, D., 1996, Caves: Process, Development, Management, Blackwell Publishers,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