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odel for Safety Education Fit for Individual Personality of Construction Worker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Safety education, which aims to cultivate an understanding of safety, to help acquire safety skills, and to improve attitude toward safety, is an important safety measure that doesn't entail restrictions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Furthermore, safety education is perceived to be the most preferred measure in reducing the occurrence of accident. The current practice of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is all formal and has no substance. Safety education became a mere boring time to workers since the material is not related to them, and does not reflect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which cannot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workers. Thus, it is vital to develop various safety education models suitable for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establish safety education models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On this, the study seeks to present a model for safety education complying with individual personality of construction workers by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 analyses to workers on the construction sites.

안전지식 함양, 안전기능 체득, 안전태도 향상을 목표로 하는 안전교육은 별다른 제한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안전대책일 뿐만 아니라 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 중에 제일 큰 우선도를 갖는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교육은 매우 형식에 치우쳐 교육을 위한 교육일 뿐이며 근로자들에게 안전교육 시간은 지루하고 따분한 시간일 뿐이다. 이러한 이유는 자기와 상관없는 교육내용과 개인적 특성을 무시한 일괄교육에서 기인하며 이는 더 이상 근로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지 못한다. 따라서 건설근로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안전교육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건설현장에서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갈원모 (2005). 안전교육론, 동화기술, 서울, pp. 33-35
  2. 김만장 (2003). 건설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한 건설안전교육 의 개선방안,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pp. 37-49
  3. 김영주 (2005). 건설현장 근로자의 건설재해 안전의식실태 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pp. 29-48
  4. 김은정 (2008).'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 개선 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지, 한국건설관리학회, 제9권 제3호, pp.175-184
  5.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997). 교육적 원인에 의한 재해 감소 효과에 관한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 인천, pp. 3-4
  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0). 건설공사 종류별 위험도 조사 및 정량화 지수 연구, pp, 51-52
  7. 심규범 (2001). 건설기능 인력의 수급현황 및 고령화 실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pp. 12-13
  8. 이형엽, 권봉안, 이영애 (2003). '학교안전사고와 성격특 성과의 관계', 한국안전교육학회지, 한국안전교육학회, 제5권 제1호, pp. 21-34
  9. 유승일, 이경철, 김용수 (1999). '건설근로자의 안전교육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과학연구지, 환경과학연 구원, 제11권 제1호, pp. 111-132
  10. 양학수 (2003). 건설현장 외국인노동자의 실태조사를 통 한 재해예방대책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06
  11. 조재환 (1996). '건설 산업 안전교육의 실태분석과 그 대책 에 관한 연구', LG건설기술지, LG건설기술 연구원, pp. 113-127
  12. 정영모 (2005). 건설현장에서의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안 전 교육에 관한 연구, 인하대 석사학위논문
  13. 정재우 (2000). '안전수행 예측에서 성격특성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한국심리학회, 제 13권 제1호, pp. 41-60
  14. 최종성(2001). SPSS ver10을 이용한 현대통계분석, 복두출판사
  15. 한국건설안전기술협회 (1991). 건설 안전관리, 1판, 한국 건설안전기술협회, 서울, pp. 56
  16. Ellen V., Ysbrand J. P., Ronald P. S., Jan N., and Judith G. M. Rosmalen (2007), 'Accident proneness, does it exist? '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 pp. 556-564 https://doi.org/10.1016/j.aap.2006.09.012
  17. Greenwood, M., & Woods, H. M (1919). 'The incidence of industrial accidents upon individuals with specific reference to multiple accidents'. Industrial Fatigue Research Board Report, 4 , London; HMSO
  18. H. w Heinrich. (1980). Industry Accident prevention, 5th, Ed., Mcgraw Hill Book Co, New York, pp.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