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분진발생지역의 현장실측과 분석을 통한 위험성 평가

A Risk Assessment in According to Spot Measures and Analysis in Dust Generation Area

  • 송길목 (전기안전연구원 설비안전연구그룹) ;
  • 김영석 (전기안전연구원 설비안전연구그룹) ;
  • 김종민 (전기안전연구원 설비안전연구그룹)
  • 발행 : 2008.09.30

초록

전기안전 측면에서 전기설비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국내규정에 맞도록 개선하기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분진발생지역에서 현장실측과 분석을 통해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분진은 절연재료 표면에 부착되어 사고의 원인이 된다. 분진에 의한 전기사고의 메커니즘에 있어서 분진이 전기설비에 쌓이던, 누설전류가 흐르고, 표면이 탄화된다. 이후 줄열에 의해 전기화재가 발생한다. 실태조사결과, 보호 장치 또는 분전함에서 분진이 발견되었으며, 포집된 분진은 포집량과 도전율이 각각 달랐다. ICP-AES에 있어서 대체로 나트륨성분이 검출되었고 고무재생공장의 경우에는 아연과 칼슘성분이 검출되었다. 하수처리장에서는 나트륨, 마그네슘, 철, 칼슘, 알루미늄 등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현장실측과 분진의 분석은 분진발생지역에서의 전기적 위험성 평가의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In terms of electrical safe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revision of domestic regulation are needed for the electric facilities. In this paper, risk of electric facilities is assessed by the spot measures and analysis in dust generation area. Adhesion dust in a surface of insulated materials cause electrical accidents. In a mechanism of these accidents, when the dust lie on electric facilities, a leakage current is flowed and the surface of insulated material is carbonized. Hereafter, electrical fire is generated due to Joule's heat. As the results, dusts are found in protection devices or panel board and sampled dusts vary in sampled amounts and conductivity severally. For the most part, sodium is detected but zinc and calcium are detected in case of reclaimed rubber factory by the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scopy). In a sewerage, the ingredients such as sodium, magnesium, iron, calcium, aluminium, etc are detected uniformly. So that, results of the spot measures and analysis of dusts are become the important data for the assessment of electrical hazard in dust generation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송길목, 김영석, 김선구, '저압용 절연재료의 염수분무 및 분진에 따른 특성비교', KIEE2007 summer conference, pp.1359-1360, 2007.07
  2. 정연하, 장태준, 송길목, 노영수, 곽희로, '연면트래킹에 의한 탄화거동', Journal of KIIEE, Vol. 21, No. 2, pp.28-33, 2007 https://doi.org/10.5207/JIEIE.2007.21.2.028
  3. 김영석, 송길목, 김선구, '외부 오염 환경하에서 고분자 절연재료의 표면 누설전류 측정 및 열화 패턴 분석', KIEE2007 summer conference, pp.2080-2081, 2007.07
  4. 김영석, 송길목, 정진수, 정종욱, 김선구, '염수 및 분진에 의한 고분자 절연물의 표면전류 특성과 사고 위험성', Journal of the KIIEE, Vol.21, No.8, pp.129-135 September 2007 https://doi.org/10.5207/JIEIE.2007.21.8.129
  5. 송길목, 최충석, 노영수, 곽희로, '트래킹에 의해 열화된 페놀수지의 탄화특성', KIEE, 53C-1-1, pp. 1-7, Jan. 2004
  6. 기상청, 'www.kma.go.kr/', 기상청, 2008
  7. 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재해통계분석', 제16호, 산업자원부, 2007
  8. 송길목, 한운기, 김영석, 정진수, 정종욱, 김선구, 'PVC와 페놀수지의 표면열화에 따른 접촉각 측정과 위험성 평가', KIIEE annual spring conference 2007, pp.458-462, 2007.05
  9. 김영석, 송길목, 정진수, 정종욱, 김선구, '전기 절연물의 오염에 따른 누설전류 특성과 사고위험성 연구', KIIEE annual spring conference 2007, pp.463-467, 2007.05
  10. IEC 61241-10, 'Classification of areas where combustible dusts are or may be present - electrical apparatus for use in the presence of combustible dust', 2006
  11. KS C 0223, '환경시험방법(전기.전자) 염수분무시험방법_2005', 기술표준원, 2005
  12. KOSHA E-18-2006, '분진폭발 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한국산업안전공단, 2006
  13. KOSHA E-25-2000, '전기설비 설치시 환경.사용조건 등의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 한국산업안전공단,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