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Kinematical Comparative Study on Crouching Starts According to the Position Blocks in Race

Crouching Start 시 스타팅 블록 유형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is study was for the analysis of Kinematic variables, using 3 types of starting block position setting(25cm, 40cm, 35c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 short-distance male runners. In the study, the most desirable block setting type for the runner who were average 180cm tall to get the good record was 45cm (distance between the starting line and the front block) and 40cm (distance between the blocks). In conclusion, the most favorable start in 100m race was to get the strongest propelling power at the start line. The most important technical point was quick responding ability to the start signal and reaching the maximum speed at the shortest time through the strong kick using the front leaning body angle and gravity. Type B start method has shown the most effective resul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cords in the 100m race.

본 연구는 스타팅 블록 유형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남자 단거리 선수 8명을 대상으로 스타팅 블록간의 거리를 세 가지(25cm, 40cm, 35cm)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평균 신장 180cm의 선수들에게는 출발선과 앞 블록의 거리 45cm, 블록간의 거리 40cm의 출발 유형이 100m 기록 단축을 위해서 유리한 스타팅 블록의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100m 출발은 정지 상태에서 짧은 시간에 가능한 큰 추진력을 얻는 데 있으며, 중요한 기술적 요점은 출발 신호에 재빠르게 반응하고, 강한 킥에 의해 큰 추진력을 얻어 전경각과 중력을 잘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최고의 속도에 도달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B유형의 출발법이 기록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 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문석, 신성휴(2005). 크라우칭 스타트 시 뒤 블록 각도 변화에 따른 발목 관절의 기계적 에너지에 대한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5(1), 19-28. https://doi.org/10.5103/KJSB.2005.15.1.019
  2. 고석곤(2004). 육상 단거리 크라우칭 스타트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3. 교육인적자원부(2005). 육상. 서울:한국교육개발원.
  4. 김칠수(2001). 단거리 달리기 출발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5. 마영희(2004). 고등학교 선수들의 100m 출발 시 Bunch Start와 Medlum Start의 기록비교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대학원.
  6. 백형훈, 권오성, 성봉주(2002). 크라우칭 스타트시 단거리선수와 일반인의 근전도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41(4), 581-589.
  7. 신보삼, 오봉석(2002). 육상경기 크라우칭 스타트 종류별 제1보 보폭이 가속질주구간 기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1(1), 417-428.
  8. 성봉주(2008). 스포츠 과학. 101.
  9. 신성휴, 고석곤, 박기자, 김태완, 권문석, 최성희, 임영태(2004). 육상 단거리 크라우칭 스타트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5), 387-395.
  10. 이강우, 강관희, 안병석(2004). 100m 단거리 출발 구간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5(6), 1067-1078.
  11. 원종세(2004). 육상경기 지도자의 이론과 실제. 서울:태근문화사.
  12. 윤희중, 장영섭(2000). 육상 단거리 차려 자세 동작에서 팔 넓이가 운동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10(1), 25-37.
  13. 정동준(2003). 고등학교 단거리 육상선수와 일반학생의 스타트 유형별 50m 대시 기록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4. 정완식(1997). 여자 중고등학교 단거리 선수의 100m 보폭 및 구간별 질주속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15. 장재근, 이재구(2008). 100미터 세계적인 스프린터와 국내 스프린터간의 스타트 대쉬동작의 비교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17(2), 1095-1104.
  16. 장재근, 성봉주(2006). 엘리트 육상 단거리 선수들의 100m 달리기시 구간속도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7(1), 293-300.
  17. 조필환(2006). 단거리 스타트 동작시 신체분절의 각도와 각속도에 대한 숙련자와 미숙련자간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한국스포츠리서치, 17(4), 143-148.
  18. 조필환, 김갑선(2000). 단거리 스타트 동작에 대한 숙련자와 미숙련자간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9(2), 103-116.
  19. 최수남, 오정환(2007). 크라우칭 스타트 출발선과 starting block 위치 변화에 따른 운동학적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30, 699-711.
  20. Aron, J. M., Robert, G. L., & Aaron, J. C.(2003). Kinematic determinanes of early acceleration on field sport athletes.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Medicine, 2(3), 144-150.
  21. Bret, C., Rahmani, A., Dufour, A. B., Messonnier, L. & Lacour, J. R.(2002). Leg strength and stiffness as ability factors in 100 m sprint running.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42. 274-281.
  22. Harrison, A. J., Keane, S. P., & Coglan, J.(2004). Force-velocity and stretch-shortening cycle function in sprint and endurance athleties. J Strength Condres, 18(3), 473-479. https://doi.org/10.1519/13163.1
  23. Hoskisson, J. L.(1992). Sprint start.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4(11), 1257-1263.
  24. Hunter, J. P., Marshall, R. N., & McNair, P. J.(2004). Interaction of step length and step rate during sprint running. Medsci Sports Exercises, 36(2), 261-271. https://doi.org/10.1249/01.MSS.0000113664.15777.53
  25. Peharec, S. & Bacic, P.(2007). The sprint: Biomechanical analysis of kinenatic, dynamic and eleromyografhic parameters. New studies in athletics, 22, 322-338.
  26. Schroter, G.(2006) Basics of the sprint start. Modern Athlete and Coach 57, 23-27.
  27. Williams, K. R.(2000). The Dynamics of Runing, In Biomechanics in Sport: Performance Enhancement and injury Prevention. The IOC Encyclopaedia of Sports Medicine, edited by Zatsiorsky(Oxford, UK: Blackwell Science), 9(3), 161-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