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upply-Demand Situation of Officers for Korean flag ocean-going merchant ship

국적외항상선의 해기사 수급 현황

  • Kim, Hyun-Jong (Department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Maritime University) ;
  • Jung, Dae-Deug (Department of Maritime transportation system, Mokpo Maritime University)
  • 김현종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 정대득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부)
  • Published : 2008.03.01

Abstract

Foreign maritime officers were employed in Korean flag ocean-going merchant ships since the year of 2005. And the number of foreign maritime officers in Korean ship has been rapidly increased, and it approaches 700 recently. The shortage of Korean maritime officers was mainly claimed the reason of employing foreign maritime officers in Korean flag ship. In this paper, we surveyed the number of newly supplied officers from every Korean training institution, the number of officers on-board, on-leave, on-job hunting, and the number of officers leaving their job every year. And then we analysed supply-demand situation of Korean maritime officers for Korean flag ocean-going ships for reasonable decision-making in relation with employing foreign maritime officers.

외국인선원 고용 확대의 주된 요인으로 주장되고 있는 선원의 부족문제, 그 중에서도 국적외항상선의 해기사의 수급현황을 객관적인 자료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외국인 해기사의 고용범위 조정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해기사의 수급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3 4급 해기사의 신규양성 공급 상황을 조사하였고, 해기사의 취업 및 이직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적외항상선 척수의 증감상황을 조사하여 선복량의 증가에 따른 해기사의 신규수요 현황도 조사하는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한 해기사의 수급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적외항상선에 공급되는 해기사는 매년 64명 정도가 남아도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훈(2007), "톤세제도가 우리나라 해운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 해양수산부(2006), "해양수산통계연보"
  3. 해양수산부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2006), "업체별 선원선박현황"
  4. 해양수산부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2006), 한국선원통계연보
  5. 해양수산부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2007), "해양계.수산계학교 졸업생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