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된 청계천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Fish Community in the Cheonggye Stream after the Rehabilitation Project

  • 최준길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 변화근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 권용수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한국조류연구소) ;
  • 박영석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한국조류연구소)
  • Choi, Jun-Kil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Sangji University) ;
  • Byeon, Hwa-Ku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Sangji University) ;
  • Kwon, Yong-Su (Department of Biology and The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Kyung Hee University) ;
  • Park, Young-Seuk (Department of Biology and The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Kyung Hee University)
  • 발행 : 2008.09.30

초록

2005년 10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청계천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 채집된 어류는 총 6과 19종이었으며 이중 한국고유종에 속하는 종은 줄납자루, 참갈겨니 등 2종(10.5%)이었다. 조사지점별 어류 발생은 Site 1에서 2과 7종 58개체, Site 2에서 3과 9종 53개체, Site 3에서 4과 9종 282개체, Site 4에서 5과 13종 293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지점별 우점종은 버들치(Site 1)와 피라미(Site 2, 3, 4)이었다. 미소서식지가 잘 발달된 하류지점 Site 4에서 종다양도 지수, 종풍부도 지수가 다른 지점에 비해 조사시기 동안 고르고 높게 나타나 다른 조사지점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어류군집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모수다차원척도법(NMDS)를 이용한 어류군집의 시공간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류군집은 하류에서 높은 종풍부도를 보여 장소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종풍부도 및 종다양도가 조사 후반부에 가장 높게 나타나 어류군집의 시간적 변동을 구분해 줌으로써 청계천 복원 공사 후 어류군집이 형성되고 점차 안정화되어 가고 있는 것을 반영해 주었다.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fish communities were studied at four study sites in the Cheonggye Stream from October 2005 to August 2006 after the rehabilitation process. During the survey period, 19 species in 6 families were sampled. Species Rhynchocypris oxycephalus and Zacco platypus were identified as dominant species. Korean endemic species such as Acheilognathus yamatsutae and Zacco koreanus were observed in the sites. Overall,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increased as time passes after the rehabilitation, reflecting colonization process of the fish community. Meanwhile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were higher at the downstream than at the upstream. Community indices such as dominant index, richness index and diversity index showed also similar spatial and temporal pattern.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multivariate ordination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the fish communities, and the results showed spatial variation of fish communities with high species richness at downstream as well as the temporal variation of fish communities with high values of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dex at later part of the study period, presenting colonization process of the fish community after the rehabilitation pro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학, 김형국, 구본학. 2007. 청계천 복원 전.후의 식물상 변화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3): 8-13
  2.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3.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도감. 교학사
  4. 김창원, 우효섭, 이두환. 2004. 하천복원의 허와 실. 춘천 물포럼. p. 607-648
  5. 남명모, 양홍준, 채병수, 강영훈. 1998. 내린천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 61-66
  6. 박명환, 황순진, 서미연, 김용재, 김백호. 2007. 조류성장잠재력 조사를 이용한 청계천 복원 이후 수질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40(2): 234-243
  7. 변화근, 조규송, 최재석, 최준길, 송병용. 1994. 치악산(부곡) 계류 어류의 월별 군집구조와 서식밀도. 한국육수학회지 27: 257-273
  8. 서울특별시. 2006. 청계천복원사업 백서. 서울특별시
  9. 서울특별시. 2007. 2006 환경백서: 서울의 환경. 서울특별시, 서울. 598p
  10.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2003. 청계천 생태계 조사 보고서.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11. 양홍준, 채병수, 남명모. 1991. 홍천강 상류수역의 추계어류상. 한국육수학회지 24: 37-44
  12. 우형섭, 박재로. 2000. 하천복원의 이해와 국내외 사례. 한국수자원학회지 33(6): 15-28
  13. 이완옥, 강충배, 박현우, 한명철, 변화근, 명정구, 노충환, 홍경표, 송호복, 채병수, 한경호, 고정락, 홍영표. 2003. 국내에 도입된 외래어 현황. 한국어류학회, 구룡문화사. 53p
  14. 이학동. 1976. 오수생물학적지표생물에 의한 청계천의 오염도에 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9(1-2): 49-53
  15.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박사학위논문. 서울
  16.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17.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2002. 개정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18. 한경남. 1980. 수질지표를 적용한 청계천의 수질평가. 대한보건협회지 6(2): 59-65
  19.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p. 215-228
  20. 환경부. 2008. 우리가 지켜야 할 한국의 야생동식물: 생태계교란 야생동식물. http://nre.me.go.kr (2008년 5월 10일 온라인접속)
  21. 內田惠太郞. 1939. 조선어류지.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보고 6: 1-460
  22. Allan, J.D. and M.M. Castillo. 2007. Stream Ecology: Structure and Function of Running Waters.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3. Cummins, K.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 477-504 https://doi.org/10.2307/2422722
  24. Faith, D.P., P.R. Minchin and L. Belbin. 1987. Compositional dissimilarity as a robust measure of ecological distance. Vegetation 69: 57-68 https://doi.org/10.1007/BF00038687
  25. Hellawell, J.M. 1986. Biological Indicators of Fresh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lsevier, London
  26. Kenkel, N.C. and L. Orloci. 1986. Applying metric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to ecological studies: some new results. Ecology 67: 919-928 https://doi.org/10.2307/1939814
  27. Laughlin, D.C. and S.R. Abella. 2007. Abiotic and biotic factors explain independent gradients of plant community composition in ponderosa pine forests. Ecol. Model. 205: 231-240 https://doi.org/10.1016/j.ecolmodel.2007.02.018
  28.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29. McCune, B. and J.B. Grace.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Press.
  30. McCune, B. and M.J. Mefford.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41. MjM software, Gleneden Beach, Oregon, U.S.A
  31.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32.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33.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34.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and 623-656 https://doi.org/10.1002/j.1538-7305.1948.tb0133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