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3 Dimensional Modeling Method with Geophysical Data

물리탐사 자료에 대한 3차원 지반 모델링 적용 사례 연구

  • Heo, Seung (GeoGeny Consultants Group Inc., Resource & Business Department) ;
  • Park, Joon-Young (GeoGeny Consultants Group Inc., Resource & Business Department) ;
  • Do, Jung-Lok (GeoGeny Consultants Group Inc., Resource & Business Department) ;
  • Yoo, In-Kol (Korea Resource Corporation,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허승 ((주)지오제니컨설턴트 자원사업부) ;
  • 박준영 ((주)지오제니컨설턴트 자원사업부) ;
  • 도정록 ((주)지오제니컨설턴트 자원사업부) ;
  • 유인걸 (대한광업진흥공사 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e three dimensional model method is widely applied in resource development for feasibility study, mine design, excavation planning and process management by constructing the database of various data in 3 dimensional space. Most of geophysical surveys for the purpose of engineering and resource development are performed in 2 dimensional line survey due to the restriction of the field situation, technical or economical situation and so on. The acquired geophysical data are used as the input for the 2 dimensional inversion under the 2 dimensional assumption. But the geophysical data are affected by 3 dimensional spac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caused by 2 dimensional assumption, the 2 dimensional inversion result must be interpreted consider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3 dimensional topography, geological structure, borehole survey etc. The applicability and usability of 3 dimensional modeling method are studied by reviewing the case study to the geophysical data acquired in field of engineering and resource development.

최근 자원개발 분야에서는 다양한 자료를 3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매장량, 품위 분포 등 경제성 평가에서부터 광산설계, 채굴계획 수립 및 가행단계의 공정관리 등 광산개발의 전주기에 대한 3차원 모델링 기법에 널리 활용하고 있다. 자원개발 분야와 토목분야에서 물리탐사는 현지 여건, 기술적, 경제적 제한 때문에 대부분 2차원 단면에 대한 탐사를 주로 하고 있다. 현장에서 획득된 탐사 자료는 2차원 가정을 전제로 한 2차원 역산을 통해 지하 매질의 물성 분포를 계산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실제로 획득된 자료는 3차원 공간에서의 지하 매질의 반응이므로, 2차원 역산의 결과는 3차원 지형 정보와 지질구조, 시추조사 결과 등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해석함으로써 2차원 가정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하고 실제 지하 매질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토목 및 자원개발 분야에서 수행된 물리탐사 자료에 대하여 3차원 지반 모델링 기법을 적용한 사례 연구를 통해 3차원 지반 모델링 기법의 활용성과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학, 황재하 외, 1998, 1:250,000 부산지질도폭 설명서, 과학 기술부
  2. 노진환, 2007, 보성 고령토 광산의 광석 유형 및 응용광물학적 특성 평가, (사)산업광물은행
  3. 도정록, 김학수, 허승, 박준영, 이성암, 김장하, 신영진, 이준호, 2007, 정밀조사보고서(고령토, 구정지구), 대한광업진흥공사
  4. 이유진, 유영준 외, 2006, 정밀조사보고서(벤토나이트: 경주-양 남지구), 대한광업진흥공사
  5. 정현기, 김대업, 성기성, 2004, 비금속 광물자원 물리탐사 신기술 개발 및 현장응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업자원부
  6. 정현기, 김대업, 성기성, 2005, 비금속 광물자원 물리탐사 신기술 개발 및 현장응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업자원부
  7.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989, 1:50,000 김천도폭 및 지질보고서
  8. 한국수자원공사, 2006, 부항다목적댐 건설공사, 지질 및 지반조 사보고서(I), SK 건설
  9. Gemcom Software International Pty, Ltd., 1998, Gemcom for Windows User Manual, Gemcom Software International, p. 4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