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를 위한 쌍방향 전통문화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ve Game for Traditional Culture Plays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the Elderly

  • 조동민 (서강대학교 게임교육원 게임그래픽학과) ;
  • 정성환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Cho, Dong-Min (Dept. of Game Graphics, Game Education Center, Sogang University) ;
  • Jung, Sung-Hwan (Dept. of Industrial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8.20

초록

최근 생활여건이 개선되고 의학수준이 향상되면서 우리나라의 국민의 평균수명은 연장되고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 시대에 직면하면서 사회가 필연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또 하나의 변화는 노인의 심리적. 사회적 변화라고 할 수 있다.[1] 노인의 심리적 변화는 노인의 생활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활동적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노인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자신의 생활을 제어하는 건강조절능력과 자신의 자립적 사고의식이 쇠퇴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적극적 사회활동 참여가 가능한 활동 레크레이션(Recreation)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문화유산을 통한 놀이문화사업은 보존 복원 대상으로만 여겼던 우리 고유문화를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려는 것이며, 우수한 콘텐츠를 보유하고도 시장의 열악한 여건으로 발전이 어려운 문제를 개선함은 물론, 대중문화에서 비롯된 한류를 한국문화 전반으로 확대, 발전시키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과거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속에서 타문화와 차별화되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멀티미디어적 요소들을 선별하여 이를 놀이 체험문화로 해석, 재구성하여 문화콘텐츠의 개발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연구의 내용과 목적으로 삼는다.

Recently, Our average life span of korean people is extended and fast-growing an elderly population caused by Being Improved our living conditions and medical science level. Our another problems which being faced by an aging population are that marked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of the aged.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aged is related to how they make their living and it strong influences on their successful aging process. For health of the aged, there is an urgent need of recreation which can be social activities to void decline their own process of thinking and the executive ability to adapt for controlling health. Therefore, thepurpose of this recreation Courseware program is to help the alienated minorities to achieve the optimal health and best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social-activities and to understand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plays. Finally, This study could contribute it as a baseline model for the empirical study and to develop further recre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social activities and sufficient for needs of understanding our traditional culture play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