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essel Export and Economic Growth in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우리나라 조선산업에서 선박수출과 경제성장의 인과성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is paper analyses the dynamic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essel export and economic growth using annual data over the period from 1977 to 2006. Tests for ADF unit-roots, the dynamic vector using Johansen's multiple cointegration procedure, dynamic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nd impulse response function are presented. The findings of the Granger test suggest that vessel export Granger-causes economic growth in the short-run and economic growth Granger-causes exports in the short and long-run. The empirical results of impulse-response analysis show that the vessel export to a shock in real GDP responds positively and the real GDP responds positively to the shocks in vessel export. Also,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act of vessel export shock on the real GDP is short-lived.

조선산업에 있어서 자유무역 확대 및 BRICs 고성장으로 인한 해상물동량 증가, 선박기술과 문화의 융합에 따른 고급레저 선박수요의 증대,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고속화와 같은 글로벌 환경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2년에 들어서면서 세계 1위로 성장하였고 2006년 선박건조량 기준 35%의 점유율을 달성하였다. 수주량 확보, 생산성 향상 및 공법개선, 안정된 노사관계 확립으로 생산량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선박수출액은 1994년 49억 달러, 1999년 700억 달러, 2003년 1000억 달러, 2006년 2000억 달러로 대단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선박수출과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박수출이 실질소득에 영향을 미치고 실질소득이 선박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박수출와 실질소득 간에 쌍방적 인과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박수출에서만 오차수정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단기에 있어서는 선박수출이 실질소득을 증가시키나 장기에서는 일정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은 데 비해, 소득변동은 선박수출에 단기에서 뿐 아니라 장기에서도 일정한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질소득과 선박수출의 오차수정방정식에서 선박수출과 오차수정항, 실질소득과 오차수정항에 대한 결합가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