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기 지역 학교 급식에서 계란 이용에 관한 설문 조사

Egg Utilization Survey for School Meals in Gyunggi Province of Korea

  • Yoo, Y.M.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
  • Chae, H.S.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
  • Jeong, S.G. (g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
  • Ham, J.S.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
  • Jang, A.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
  • Yoo, H.S.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
  • Ahn, C.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 발행 : 2008.06.30

초록

경기도 지역 20개 시군의 고등학교 급식 담당 영양사 195명을 대상으로 계란의 급식 이용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급식 인원은 $1,000{\sim}2,000$명 미만의 급식 학생수가 38.9%로 가장 많았고, $2,000{\sim}3,000$명 미만이 19.2%, 500명 미만이 16.1%, 3,000명 이상이 13.5%, $500{\sim}1,000$명 미만이 12.4%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식에서 월간계란 요리 제공 횟수는 전체에서 볼 때 $3{\sim}5$회/월 제공이 46.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6{\sim}10$회/월 제공이 22.4%, 월 $1{\sim}2$회 제공이 16.8%, 월 $11{\sim}30$회 제공이 12.2% 순으로 나타났다. 계란의 구입에서 요리되지 않은 계란과 요리된 것 중에서 요리되지 않은 원란을 구입하는 경우가 $96.7{\sim}98.0%$까지로, 대부분 요리되지 않은 상태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리의 종류는 도시 규모에 상관없이 모두 계란찜을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용 계란의 구입은 식품 유통 업체가 전체적으로 80.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계란 전문 유통점이 13.2%, 그 외에 농장에서 직거래하는 경우가 2.4%였으며, 또한 농산물 시장에서 구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구입 계란의 포장 형태는 등급란 30개 포장을 구입하는 경우가 전체에서 가장 많았으며, 일반 계란 30개 포장 다음으로는 액란을 구입하는 경우가 3번째로 많았다. 학교 급식에서 학생들이 계란 요리를 선호하는 정도는 전반적으로 계란 요리에 대해서 좋다는 반응을 나타낸 경우가 64.1%, 보통이다가 32.8%였으며, 싫다는 쪽에 응답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을 학교 급식으로 이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계란 요리를 위한 껍질을 깨어 요리를 하는 작업 과정에 애로를 느낀다는 답변이 22.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계란이 위생적으로 안심이 되지 않아서 계란 요리를 하는데 걸림돌이 된다는 답변이 19.5%로 많았다. 이러한 여러 가지 결과로 볼 때 학교 급식에서 계란 요리는 학생들에게 상당히 좋은 급식 재료인 것으로 보이며, 학교 급식 재료로 메뉴의 다양한 개발 및 조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기구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지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극복하면 학교 급식에서 계란의 요리 이용이 활성화 될 것이며, 성장기 청소년들의 영양 섭취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 total of one hundred and ninety five nutritionists selected based on population scale in high schools in Gyunggi Province were questioned about utilization of eggs in school meals. Almost half of those nutritionists have utilized eggs in school meals $3{\sim}5$ times per month. Most frequent cooking methods of eggs were boiled eggs. Eggs obtained from food distributors and egg distributors were 80.8% and 13.2%, respectively. Also, the nutritionists in middle population area prefer to purchase graded egg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problems in cooking eggs were egg shell braking and related food safety.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egg is good for school meals, but various menus for easy cooking are yet to be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Bae JS 200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chool food service-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Ulsan 2001 DM the University of Ulsan
  2. Chasseignaux E, Toquin MT, Ragimbeau C 2001 Molecular epidemiology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s collected from the environment, raw meat and raw products in two poultry- and pork-processing plants. J Appl Microbiol 91: 888-899 https://doi.org/10.1046/j.1365-2672.2001.01445.x
  3. Hitchins AD 1995 Listeria monocytogenes. FDA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8th ed., AOAC International, Gaithersburg, USA, 10.01-11.07
  4. Peters M, Pohlenz J, Jaton K 1995 Studies of the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culture and PCR in cerebrospinal fluid samples from ruminants with Listeric encephalitis. JVMS 42:84-88
  5. SAS Institute 1998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1 ed SAS Institute Inc, Cary, NC
  6. 김상기 서중일 1967 닭 및 계란 시장유통에 관한 연구. 농사 시험연구보고 83-93
  7. 김재욱 김형찬 허종화 1998 계란가공품의 보관 중 품질 변 화. 한국식품과학회지 30(6):1480-1483
  8. 김정주 정경수 2005 계란의 수요변화와 공급 대응정책. 한국축산경제학회지 13(1):31-48
  9. 남기홍 2000 양질의 계란 생산전략 II. 계란 내용물의 질. 콜 레스테롤 함량. 난황색, 난중조적, 유기란. 한국가금학회지 27(2):133-153
  10. 농림부 2007 농림업 주요통계. www.maf.go.kr
  11. 박양자 이양후 1972 한국 농촌 취학전 아동의 급식 실태에 관한 연구 1. 선택적인 사회 문화적 요인. 한국농업교육학회지 97-104
  12. 심재은 백희영 문현경 김영옥 2001 서울 및 근교에 거주하 는 한국인의 연령별 식생화 비교 및 평가 (1)영양소 섭취 비교. 한국농업학회지 34(5):554-567
  13. 우용구 2005 1996년도 서울 경기지역에서의 시판계육과 계 란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생실태.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41(1):38-46
  14. 지규만 2004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의 조절 - 현 재와 전망. 한국가금학회지 31(1):61-71
  15. 축산물등급판정소 2007 축산물등급판정통계. www.apgs. co.kr

피인용 문헌

  1. Utilization and Application to Increase Egg Dishes in Communal Food Service in Accordance to Dietician’s Awareness vol.32, pp.5, 2016, https://doi.org/10.9724/kfcs.2016.32.5.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