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격리장치를 갖는 PSC I형 거더교량의 지진거동 특성 및 경제성 분석

Seismic Behavior and Economic efficiency Analysis of Bridge for PSC I-Shaped Girder of isolated device

  • 신영석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 박장호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 최광수 (㈜동일기술공사 기술연구소) ;
  • 홍순호 (㈜동일기술공사 기술연구소)
  • 발행 : 2008.04.28

초록

지금까지의 지진 관련 연구는 주로 교량 받침 자체의 성능개선이 주요 관심 과제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받침 종류에 따라 교량에 미치는 전반적인 지진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교량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실무에서 많이 적용되는 PSC I형 교량에 대해 교량받침의 종류를 변화시키며 교각 높이를 매개변수로 하여 상시 및 지진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지진해석을 통해 산출한 단면력을 고려하여 PSC I형 교량받침의 변위, 지진하중에 의한 교각 기둥의 직경, 상부여유 간격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고교각인 경우 탄성받침보다는 지진격리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지진에 의한 상부구조의 이동량을 줄여 신축이음장치의 규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차량의 주행성 및 교량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교량 하부 구조 단면이 축소되어 미관개선 및 경제성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PSC I형 교량받침 설계시 일률적으로 탄성받침을 적용하는 것보다 정밀한 내진해석을 통해 지진격리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구조적정성 측면 및 공사비 측면에서 타당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e research so far has primarily analyzed efficiency improvement but in this research,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behavior, with changed pier heights, through ordinary and seismic analysis. For this, the kind of bridge bearing has been changed against PSC I-shaped bridge, which is mostly used in practice, and at all times earthquake analysis has been performed with through height of pier. Especially considering sectional power resulting from earthquake analysis, displacement of PSC I-shaped bridge bearing, diameter of pier pillar by earthquake load, and upper spare gap have been analyzed. In case of high-pear, seismic isolated device is decided as proper for cars' driving and for management of bridge since it decreases movement of upper structure, than elastic bearing, reducing size of elastic connect device, and it's been analyzed it i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fine view and economic efficiency reducing section of lower bridge structure. Finally, when design PSC I-shaped bridge bearing, for the proper structure and high-pier side, applying seismic isolated device through precise inner analysis is proper than applying equal elastic bea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구경희, 이재한, 유봉 (1998) 면진용 고감쇠 적층 고무베어링의 성능특성실험 및 비선형 거동해석,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4), pp.73-87
  2. 김대곤, 이상훈, 김대영, 박칠림 (1998) 적층고무베어링과 납-고무베어링의 내진 성능에 관한 실험,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4), pp.53-62
  3. 김상효, 마호성, 원정훈 (1999) 거더간 충돌을 고려한 지진하중을 받는 교량의 동적거동분석,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12(3), pp.509-518
  4. 김용길 (1999) 중약진 지역에서 지진격리 교량의 상대강성비에 관한 연구, 공학박사, 서울대학교, p.110
  5. 김창수 (2004) 면진장치를 사용한 강박스 사교의 지진하중 영향평가, 공학석사, 경북대학교, p.83
  6. 최승호, 한경봉, 박선규 (2004) StLRB 지진격리장치를 적용한 교량의 거동특성과 비교분석,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논문집, 8(1), pp.139-146
  7. Anil K., Chopra (1995) Dynamics of Structures, Prentice-Hall Inc. pp.187-548
  8. Mario, Paz (1991) Structural Dynamics, Van Nostrand Reinhold, 3rd ed, pp.63-198
  9. Newmark, N.M., Hall, W.J. (1982) Earthquake Spectra and Design,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pp.5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