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fit Sharing and Efficiency of a Joint Venture

공동사업의 이익분배와 효율성

  • Wee, Jung-Bum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hee University) ;
  • Jun, Sang-Gyung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nyang University)
  • 위정범 (경희대학교 경영학부/경영패러다임연구센터) ;
  • 전상경 (한양대학교 경영학부)
  • Published : 2008.03.01

Abstract

The megatrend of convergence in finance, telecommunication, and service industries is being spread over the whole industry. It has generated various kinds of contractual alliance or joint venture. Our paper builds a theoretical model for the profit sharing between two firms that participate in a joint venture. The model shows how the profit sharing rule affects the incentives of the participants, and, eventually, the efficiency. We derive the first-best solution of the profit sharing, where no incentive distortion exists. Then, we compare the incentive-affecting cases with the first best outcome, and assess the efficiency and the fairness of distribution. Our analysis shows that if we properly design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on transfer price and production quantity, we can reach the socially optimal efficiency.

본 연구는 유사한 혹은 동일한 산업에 속해 있는 두 기업이 공동사업(joint venture)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익을 분배하는 메카니즘을 분석한다. 두 기업이 동의할 수 있는 '공정한' 이익분배와 함께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는 의사결정구조를 모색한다. 공동사업은 한 기업이 설비를 제공하고, 다른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공동사업의 의사결정 구조를 적절히 고안하면 사회적 효율성을 충족하는 균형에 도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일 기업집단 내의 공동사업과 같이 이익분배(이전가격)가 사전에 정해져 기업들의 사적 유인이 통제될 수 있는 상황 뿐 아니라, 독립적 기업들의 공동사업에서도 판매기업이 단독으로 이전가격을 결정하는 구조를 배제하면 효율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