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역의 계절적인 퇴적환경 변화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al Variation to Sedimentary Environment at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 Yoon, Eun-Chan (Dep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Sup (Dep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8.31

초록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에서 상세한 격자망을 구성하여 표층 퇴적물을 계절별로 채취하였다. 퇴적물의 계절적인 변화특성과 장기간의 변화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입도분석과 기존 자료들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퇴적물 분포는 계절적으로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낙동강 하구둑의 방류량과 입사파랑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질퇴적물들은 연간 탁월 파향인 ENE 계열 파랑의 영향으로 낙동강 하구역의 서쪽 진우도 전면으로의 이동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니질퇴적물은 흐름을 따라 수심이 깊은 외해쪽으로 이동하여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상은 과거의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여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In this study, we formed a detailed grid at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and collected the surface sediments. Particle size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existing data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and long-term changes in the sediment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the distribution of the sediments showed a great change per season and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quantity of outfall discharge at the Nakdong estuary barrier and the incident wave climate. The sandy sediments showed dominant movement toward the front of Jinwoodo west of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NE wave, the annually-dominant wave. And the muddy sediments showed deposition by being moved toward the deep open sea along with a current.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ediments at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showed great differences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4), 361-374
  2. 김석윤, 하정수 (2001).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4(3), 268-278
  3.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4), 416-427
  4. 김성환, 류호상, 신영호 (2007).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과 공간적 분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1), 43-53
  5. 김원형, 이형호 (1980). 낙동강 하구지역의 퇴적물운반 및 퇴적에 관한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16(3), 180-188
  6. 김항묵 (1988). 한국 낙동삼각주 일대의 구조 및 퇴적환경의 평가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9(1), 45-69
  7. 반용부 (1985). 낙동강삼각주의 퇴적물 입경분석. 지리학연구, 10, 713-747
  8. 윤한삼, 유창일, 강윤구, 류청로 (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1(2), 22-34
  9. 이유대 (1993). 부산만 해저지질의 특성 연구 : 낙동강 하 구 수역의 퇴적 영력. 한국지구과학회지, 14(1), 67-74
  10. 이종섭, 김가야, 박일흠, 주귀홍 (1994). 낙동강 하구둑 건설 후의 하구사주 변천과정.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II), 171-174
  11. Blott, S.J. and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6, 1237-1248 https://doi.org/10.1002/esp.261
  12. Davis, R.A., Hayes, M.O. (1984). What is a wave-dominated coast?, Marine Geology, 60, 313-329 https://doi.org/10.1016/0025-3227(84)90155-5
  13. Elliot, M. and McLusky, D.S. (2002). The Need for Defiinitions in Understanding Estuari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5, 815-827 https://doi.org/10.1006/ecss.2002.1031
  14.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6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15. Galehouse, J.S. (1971). Sedimentation analysis.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69-94
  16. Ingram, R. (1971). Sieve analysis.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New York, Wiley Interscience, 49-67
  17. Konert, M. and Vandenberghe, J. (1997). Comparison of laser grain size analysis with pipette and sieve analysis : a solution for the underestimation of the clay fraction. Sedimentology, 44, 523-535 https://doi.org/10.1046/j.1365-3091.1997.d01-38.x
  18. Passega, R. (1964). Grain size representation by CM patterns as a geological tool.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34, 830-847 https://doi.org/10.1306/74D711A4-2B21-11D7-8648000102C1865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