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hild Creative Thought Program

유아의 창의적 사고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program that would promote children's creative thought processes and also to ascertain the effect on their development. The creative thought program consists of three stages : at the first stag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as gathered and the theoretical basic model established. Considering Divergent and Feeling Factors, the program was planned based on the William's educational curriculum as it was applied and tested in an actual life situation. At the second stage, in order to formulate an activity plan for the creative thought program, William's activity plan was analyzed. At the third stage, the activities which would be applied to the creative thought program in the actual situation were considered with teaching strategy, activity arena and creative thought factors.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children's creative thought programs should not just promote Divergent Factors or limited areas of activities, but other activities which include Feeling Factors should be planned and more diverse creative thought programs developed. To design an education program that encourages efficient creative thought, various teaching strategies in creative thought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Teacher training for current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and parents who have the most direct influence of their children - be made aware of the creative thought process in children. It needs to be stated that this research on creative thought programs is not a complete program: it needs to be further adjusted and supplemented. As development of the tools to evaluate Feeling Factors objectively and the application on the program due to insufficient time, a more continuous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further research and evaluation of its effects are required.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희(2004). 창의력 사고력 신장을 위한 반응중심 동화 지도 방안. 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미란(2005).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학습지원 가정환경과 학업성취의 관계. 교육연구 논총, 26(1).
  3. 김영중(2004). 창의성 발달에 대한 이론 및 교육활동의 실제에 대한 고찰. 제주관광대학 논문집, 10, 53-63.
  4. 김영채(2002). 창의적 문제 해결 :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5. 김온기(2000). 과학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온기, 이 영(2001). 과학 활동을 통한 유아의 사고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2), 25-49.
  7.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8-10호.
  8. 문미옥(1996).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 기초연구. 아동연구, 1, 77-100.
  9. 박나미(2005). 유아의 창의성에 대한 관련 변인 연구. 이화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영태(2003). 창의성 인성 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과 감정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1, 53-99.
  11. 부지영(2000). 창의성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송연자, 이윤옥(2004). 우뇌 창의성 프로그램과 전뇌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학회지, 24(6), 2-26.
  13. 송인섭, 이신동,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학문사.
  14. 심나미(2004). 유아의 창의성에 대한 관련 변인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윤정(2002).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배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순연(2000).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과 학습양상이 창의적 사고와 과제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영준(2002).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아동의 창의성의 관계,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윤옥(2003). 유아를 위한 통합적 창의성 개념 모형 탐색.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논총, 7, 293-313.
  19. 이인숙(2003). 교사의 사고양식과 수업양식의 특성 및 상관관계.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정식(2004). 지능과 창의성의 발달경향성 분석-유아기에서 청소년기까지-.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화국, 김언주, 문정화(2003). 영재교육의 방법과 자료(상), 서울: 대교/한국교육평가센터.
  22. 이효숙, 심성경, 백영애, 김경의(2004).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5(1), 127-144.
  23. 임경순(2005). 창의적 사고훈련이 유아의 지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순애(2001). CAPA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연구: 사상체질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경상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전경원(2005).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26. 정미숙(1996). 정의적 변인들간 및 학업성적과의 관계분석. 교육학연구, 34(1).
  27. 조형숙(2001). 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창의적 실험 구성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 유아교육연구, 21(3), 27-54.
  28. 최인수(2000). 유아용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0(2), 139-166.
  29. 하주현(2003). 문제 발견, 창의적 사고, 창의적 인성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3), 99-115.
  30. 한숙녀(2002).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아동의 창의성의 관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허경철, 김홍원, 임선하, 김명숙, 양미경(1991).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V). 한국 교육 개발원.
  32.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358-376. https://doi.org/10.1037/0022-3514.45.2.357
  33. Guilford, J. P.(1986). Creative talents: Their nature, uses and development Buffalo, NY: Bearly Limited.
  34. Guilford, J. P. (1987). A review of quarter century of progress(1975). In S. G. Isaksen, (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 Beyond basics, (pp. 45-61). Buffalo, New York : Bearly Limited.
  35. Perkins, D. N. (1981). The mind' s best work.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6. Parnes, G. (1980). SOI testing could replace IQ. EI Segundo, CA: SOI Instotite.
  37. Stenberg, R. J., & Lubart, T.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a conformity. New York: Free Press.
  38. Torrance, E. P. (1960). Eight partial replications of the Getzels-Jackson study.
  39. Williams, F. (1972). Classroom ideas for encouraging thinking and feeling. New York: D.O.K Pub.
  40. Williams, F (1977). Teachers without fear. D.O.K Pub.
  41. Williams, F. (1980) Creativity assessment packet. Buffalo, NY; D.O.K P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