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의 투자유치를 위한 마케팅믹스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keting Mix for Inducing Investment to the Free Economic Zone in the Gwangyang Bay Area

  • 장흥훈 (순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통상학부 무역학) ;
  • 이종규 (순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영통상학부 무역학)
  • 발행 : 2008.09.30

초록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은 2003년 함께 지정되었던 인천, 부산 경제자유구역 등에 비해서 지리적, 인지도, 사회간접자본 등의 측면에서 불리한 여건에 있다. 물론 정부, 지자체,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 등은 변화시키기 어려운 우리사회의 여건 속에서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최선의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제도의 정비, 환경조성, 운영전략 등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실적은 부족한 실정이다.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제자유구역을 거점으로 아시아와 세계를 상대로 하는 비즈니스를 구상하고, 수행하는 많은 외국인투자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운영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내 이러한 양질의 외국인투자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만의 차별화 된 운영전략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의 외국인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믹스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product)전략으로 주변 특성과 연계된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가격(price)전략 측면에서는 탄력적인 인센티브와 맞춤형 인센티브, 현물 및 현금보조금 제도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셋째, 촉진(promotion)전략 측면에서는 전문능력 및 외국어능력을 겸비한 인력양성과 수요자 위주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넷째, 유통(place) 전략 측면에서는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의 독립화 및 전문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suggest a development device for Gwangyang Free Economic Zone(GFEZ)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its maritime port of Gwangyang and promote the regional development in Gwangyang Bay Area. This study will evaluate the background, processes, and targets for foreign investment, I examined historical treatises as they relate to inducing investments to Free Economic Zones. I will explore good operation and inducing investment methods GFEZ within the 4P(product, price, promotion, place) framework. I tried to suggest a new management methodology for the Free Economic Zones as sugges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from the regional view poi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arketing strategies; compare them to the 4P for deploying an actual more efficient governing structure body for the GFEZ. As proposals to promote and activate GFEZ, I recommended in this paper several benchmarks. First, GFEZ must construct good clusters related to regional strengths as they relate to products. Second; to give more flexible incentives to foreign companies as compared with China, England, Ireland, India, Malasia, Thailand and Vietnam using prices as a guideline. Third, it is required to cultivate expert manpower who can communicate with foreign clients relate to promotion. A proactive public information system is also required in addition to marketing strategies for inducing investment. Lastly, GFEZ needs to became independent and separat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even from regional provi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