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서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A Meta-Analysis of Librarians' Job Satisfaction Studies

  • 노정순 (한남대학교 문과대학 문헌정보학과)
  • 발행 : 2008.09.30

초록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연구결과를 데이터로 간주하여 통계분석하는 메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사서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선행연구 27편으로부터 집단변수로는 남녀성별과 결혼유무, 종속변수로는 전체직무만족도와 7개 하위변수(직무자체, 급여, 승진, 감독, 근무환경, 사회적 인식, 자아실현)가 선정되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남녀간 사회적 인식과, 승진, 감독, 근무환경의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감독과 근무환경의 효과크기만 동질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질적으로 분석된 사회적 인식과 승진에 대해서는 랜덤효과분석을 추가로 수행한 결과 승진의 효과크기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여부에서는 직무자체와 급여, 자아실현의 효과크기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이질적으로 판명된 직무자체의 효과크기는 랜덤효과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연구시기 (2000년전후)는 중재변수가 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meta-analysis of librarians' job satisfaction using the Hedges & Olkin's Effect Size Model. Sex and Marrage as group variables, and Total Satisfaction and 7 sub-variables(Work Itself, Salary, Promotion, Supervision, Working Conditions, Social Recognition, Self-actualization) as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from 27 studies. The effect sizes between men and wome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Supervision, Working conditions, Promotion, and Social Recognition, of which first two were homogeneous. But the difference of Social Recognition was not significant in Random Effect Model. The effect sizes difference between married and unmarried were significant on Self Recognition, Salary, and Work Itself. However the difference of Work Itself was not significant in Random Effect Model. Study Year could not be a moderator.

키워드

참고문헌

  1. 노정순. 2006. 국내외 문헌정보학분야 연구에서 추론통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40(1): 119-138
  2. 노정순. 2008. 문헌정보학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45-61
  3. 변미희. 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인에 관한 메티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36: 95-117
  4. 신두재. 1997. "전문도서관 사서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논문,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원
  5. 이상배. 1991. "사서직 공무원의 사기 진작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 전남.전북의 공공 도서관 사서직공무원을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6. 오인수, 김광현. Todd C. Darnold. 황종오. 유태용, 박영아. 박량희. 2007. 직무만족, 조직 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인사.조직연구". 15(4): 43-86
  7. 이철찬. 1999. "대학도서관 사서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 대학도서관 사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8. 조경호. 1998. Hunter식 메타분석을 응용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조절변인의 탐색. "한국행정학보". 32(2): 147-164
  9. 홍기철. 1990. "도서관직원의 직무만족 및 직무 요언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0. 홍영미. 1996. "사서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국.공립도서관 사 서직 공무원을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1. De Leeuw, Edith. Mario Callegaro. Joop Hox. Elly Korendijk. and Gerty Lensvelt­Mulders. 2007. "The Influence of advance letters on response in telephone surveys: a meta-analysis." Public Opinion Quarterly, 71(3): 413-443 https://doi.org/10.1093/poq/nfm014
  12. Hedges, Larry V. 1981. "Distribution theory f for Glass's estimator of effect size and related estimators." Journal of Educa­t tional Statistics. 6: 107-128 https://doi.org/10.2307/1164588
  13. Hedges, Larry V. and Ingram Olkin.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Orlando: Academic Press
  14. Hunter, John E. Frank L. Schmidt. and Gregg B. Jackson. 1982. Meta-analysis: cumulating research findings across studi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5. Hunter, John E. and Frank L. Schmidt. 2004. Methods of meta-analysis: collection error and bias in research findings.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16. Lipsey, Mark W. and David B. Wilson. 2001. Practical meta-analysis.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2001
  17. Rosenthal. Robert. 1991. Meta-analytic proce-dures for social research. 2nd ed. Newbery Park: SAGE Publications
  18. Saxton. Matthew. 2006. "Meta-analysi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ethod. history. and recommendations for reporting research" Library Trends. 55(1) : 158-170 https://doi.org/10.1353/lib.2006.0052
  19. Sukhodolsky. Denis. Howard Kassinove. and Bernard Gorman. 2004.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ang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si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9: 247-269 https://doi.org/10.1016/j.avb.2003.08.005
  20. Walters, Glenn D. 2001. "A Meta-analysis of opinion data on the prescription previlege debate." Canadian Psychology, 42(2): 119-125 https://doi.org/10.1037/h0086886
  21. Wolf. Fredric M. 1986. Meta-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Beverly Hill, CA: SAGE Publications

피인용 문헌

  1. An Ethnographic Study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Librarians vol.43, pp.4, 200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4.381
  2. An Exploratory Meta Analysis of Library Economic Valuation Studies vol.43, pp.4, 200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4.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