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용기 슬릿환기 시스템이 자생 넉줄고사리와 송악의 생육과 뿌리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it Ventilation System in Indoor Container on Growth and Root Activation of Davallia mariesii and Hedera rhombea

  • 주진희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
  • 방광자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발행 : 2008.04.30

초록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activate various new technology for indoor container, and attempt to a desirable planting environment of indoor plant by verify effect that indoor container slit ventilation system gets in growth and root activation of Korea Native Plants. Main result is as following. 1. Davallia mariesii, typical epiphyte fern, was appeared that growth of top and root activation was helped by slit ventilation system in indoor container and were very positive in rhizome development specially. 2. Hedera rhombea was helped growth of top by slit ventilation system, and specially, effect of plant height and number of shoot. Also, this slit system was positive in root activation. So, this indoor container appeared by thing which is very desirable in climbing plants as well as epiphyte plants. According to result that see effect getting in growth and root activation of Davallia mariesii and Hedera rhombea for indoor container slit ventilation system, Growth of top was different in plant but root activation was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곽병화. 꽃.나무.허브 키우기. 주부생활. 2001
  2. 권성환, 최규동, 이기권, 고복래, 최정식, 최영근. 반촉성재배 시 강제 공기순환이 수박의 생장과 급성시들음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춘계학술발표요지. 20:187. 2002
  3. 김태우, 조승완, 장영준, 전충환. 슬릿버너에서 형상변화가 연소특성 및 배기배출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소학회지. 31:314-319. 2005
  4. 김강민, 이병철, 한인우, 윤태석. 보현산 천문대 긴 슬릿분광기의 특 성과 성능 분석. 한국천문학회지. 18(1):81-86. 2003
  5. 김태진, 김학범. 컨테이너에서 재배된 백목련과 자귀나무의 이식전후 생장률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9(5):92-100. 2001
  6. 이진희, 방광자, 최경옥. 우리나라 실내조경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기초 연구.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 8:1-11. 1999
  7. 이종석, 방광자. 김순자. 신실내조경학. 도서출판조경. 2005
  8. 이종석, 오혜원, 한승원. 실내조경에 있어서 자생식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 춘계학술발표요지 1:136. 2001
  9. 연수민, 김희은. 스포츠 웨어의 슬릿 벤틸레이션 시스템이 인체 생리 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1):1-6. 2005
  10. 손관화, 염도의. 실내의 광 및 온도조건에 따른 몇가지 관엽식물의 생육의 차이에 관하여. 한국원예학회지 28(2)173-184. 1987
  11. 박강순, 김서영, 김우승. 자연대류 방열기의 열성능에 미치는 핀 슬 릿의 영향.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요지 pp:176-182. 2003
  12. 박구용, 고광오, 김영택. 반원형 슬릿 케이슨을 적용한 방파제. 대한 토목학회지 54(1):142-148. 2006
  13. 백희준. Slit기법을 이용한 부조적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86
  14. 박세림. 호텔 실내조경의 기법과 식물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5
  15. 조경숙, 김선국, 최경주, 서정근. 클레로덴드럼 단기 소형 분화 생산 시 삽수길이, 용기크기 및 다양한 저면관비방법이 발근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기술지 21(1):71. 2003
  16. 최소라, 김명준, 은종선, 안민실, 임희춘, 류정. 배양용기내 환기와 광도에 따른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기내 배양묘의 생장반응. 식물생명공학회지 32(2):23-29. 2005
  17. Appleton, B.L. Elimination of circling tree roots during nursery production, the Landscape Below Ground, Proceeding of an Int. Workshop on Tree Root Development in Urban Soil. The Int. Soc. of Arboriculture. pp. 93-97. 1994
  18. Burden, A.X., and P.A.F. Martin. Chemical root pruning of coniferous seedling. HortScience 17:622-624. 1982
  19. Cannell, R.Q. Soil aeration and compaction in relation to root growth and soil management. Appl. Biol. 2:1-86. 1997 https://doi.org/10.1111/j.1744-7348.1915.tb05424.x
  20. Hopkins, W.G., 권덕기, 박연일, 진창덕, 전성수, 홍영남 역. Introduction to Plant physiology. 을유문화사. 2001
  21. Jackson, W.T.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 causing injury to shoots of flooded tomato plants. Amer. J. Bot. 43:637-639. 1956 https://doi.org/10.2307/2438827
  22. Kinghorn, J.M. Principle and concepts in container planting. Proceedings of North Amer. Containerized For. Tree Seedling Symp., 1974 August Denver. CO, Great Plains Agric. Council Publ. No 68. p.8-18. 1974
  23. Marler, T.F. and D. Wilis. Chemical or air root pruning containers improve carambola, longan and mango seedling root morphology and initial root growth after transplanting. J. Environ. Hort. 14(2):47-49. 1996
  24. http://www.encyber.com(2007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