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andard of CAD Drawing in the Water Resources Parts to Support Construction CALS/EC

건설CALS/EC 지원을 위한 수자원 분야 전자도면 표준체계에 관한 연구

  • 강영미 ((주)인크루넷) ;
  •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8.02.18
  • Accepted : 2008.06.16
  • Published : 2008.07.31

Abstract

As it was developed to korea standard of the CAD Drawing in Construction CALS/EC for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and efficiency rising of construction management. it is high time to design the standard system in water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rategies for standard system of drawing information in water Resources parts for construction CALS/EC.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xisting construction drawing standards including CMS, CMMS, drawing guideline of a water Resources public institution, ISO, US National CAD Standard, Japanese Standa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e prime structure of the water Resources drawing information standard to support construction CALS/EC. For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system in real practice, this study establishes the numbering system to joint the current standard system for a water Resources order institution and to keep construction CALS/EC. In conclusion, the standard system of drawing information is proposed as a fundamental frame to water Resources parts of construction CALS/EC.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 및 건설사업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국가차원에서의 건설 CALS/EC 표준을 개발한바 수자원 분야에서도 국가 전자도면 작성기준에 준한 표준체계의 개발이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 건설CALS/EC를 지원하기 위한 수자원분야 전자도면정보의 표준체계 개발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수자원분야 공공기관의 건설사업관리시스템, 건설유지관리시스템, 도면작성기준서 등 건설관련 분야의 도면정보 표준, 국내 전자도면 작성표준과 ISO, 미국 NCS, 일본표준에서 포함하고 있는 도면표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설CALS/EC 지원을 위한 수자원분야 도면정보 표준의 기본적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실무적으로 표준체계를 적용하기 위해, 수자원 분야 공공기관의 현행 표준체계와도 연계되면서 국가 건설CALS/EC을 준수하도록 번호부여체계를 수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CALS/EC을 지원하기 위한 수자원 분야의 기본적인 표준화 방향 및 번호부여 규칙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6) 건설CALS/EC 전자도면 작성표준, Vol. 1.1, pp. 8-23
  2. 김주한, 정동훈, 김병국(2003) 지형지물 유일식별자(UFID:Unique Feature IDentifier) 부여방안에 관한 연구,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pp. 23-31
  3. 일본국토교통성(2003) CAD제도기준(안)
  4. 조우석, 박수영, 정한용(2003) 소축척 수치지도 지형지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측량학회, pp. 357-364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9) 도면정보 표준화에 관한 연구, pp. 61-97
  6. 한국수자원공사(2007) 건설사업관리시스템 표준분류체계집
  7. 한국수자원공사(2006) 설계도서 작성기준, pp. 21-34
  8. NIBS (2005) National CAD Standards Vol. 3, No. 1, AIA Layer Guidelines
  9. BSI (1998) Construction drawing practice (1192) Part5, Guide for structuring of exchange of CAD data
  10. ISO 5457 (1999) Technical product documentation-Sizes and layout of drawing sheets
  11. ISO 13567 (1998) Technical product documentation-Organization and naming of layers for CAD-Part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