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후변화에 의한 건설시공환경 변화 분석

Analysis of Construction Conditions Change due to Climate Change

  • 배덕효 (세종대학교 물자원연구소 토목환경공학과) ;
  • 이병주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정일원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투고 : 2008.03.21
  • 심사 : 2008.06.23
  • 발행 : 2008.07.31

초록

본 연구는 과거 기상관측자료와 IPCC SRES A2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건설시공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거기간은 전국 57개 기상관측소의 30년(1975~2004년)기간, 미래기간에 2025s(2011~2040년)와 2065s(2051~2080년)기간의 일강수량과 일평균기온자료를 이용하였다. 관측소별로 연강수량과 연평균기온에 대한 경향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관측소에서 연강수량과 연평균기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와 시공환경간의 관계지표로 공사별 작업가능일수와 극치호우사상 발생일수를 선정하였다. 관계지표에 대해 선형회귀분석과 Mann-Kendall test를 이용하여 경향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연별 작업가능일수와 극치호우사상 발생일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2 시나리오 상황에서 작업가능일수와 극치호우사상 발생일수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관측자료를 이용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작업가능일수의 증가와 더불어 집중호우로 인한 건설현업에서의 직 간접적 피해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evaluation of the impact on the construction condition due to historical observation data and IPCC SRES A2 climate change scenario. For this purpose, daily precipitation and daily mean temperature data which have been observed over the past 30 years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re collected and applied. Also, A2 scenarios during 2011~2040 and 2051~2080 are used for this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rend analyses on annual precipitation and annual mean temperature, they are on the increase mostly. The available working day and the day occurred an extreme event are used as correlation indices between climate factor and construction condition. For the past observation data, linear regression and Mann-Kendall test are used to analyze the trend on the correlation index. As a result, both working day and extreme event occurrence day are increased. Likewise, for the future, variation analysis showed the similar result to that of the past and the occurrence frequency of extreme events is increased obviously. Therefore, we can project to increase flood damage potential on the construction site by climate change.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기술연구소(1998) 건설장비의 선정 및 조합, 연구보고서
  2. 과학기술부(2007)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체계 구축,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
  3. 권원태, 부경온, 허인혜(2007) 한반도 최근 10년 기후특성,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78-280
  4. 기상연구소(2002)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 (I), 연구보고서
  5. 기상연구소(2004)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 (III), 연구보고서
  6. 김광섭, 임태경(2006) 1973년부터 2004년까지의 관측된 대형증발량 자료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6B호, pp. 583-596
  7.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 김남원(2004) 기후변화가 용담댐 유역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3호, pp. 185-193
  8. 김은희, 김맹기, 이우섭(2005) 최근 30년간 한반도 일 강수강도의 지역적 특성,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6, No. 5, pp. 404-416
  9. 대한토목학회(2005) 토목공사 표준일반시방서
  10. 배덕효, 정일원, 권원태(2007a)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3호, pp. 191-204 https://doi.org/10.3741/JKWRA.2007.40.3.191
  11. 배덕효, 정일원, 이병주(2007b) A2 시나리오에 따른 국내 수자원의 변동성 전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2호, pp. 921-930 https://doi.org/10.3741/JKWRA.2007.40.12.921
  12. 유철상, 이동률(2000)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일수 및 강수강도의 변화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4B호, pp. 535-544
  13. 이동률, 김웅태, 유철상(2004)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유출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4호, pp. 305-314
  14. 임창수(2008) 연별 및 월별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 추세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B호, pp. 65-77
  15. 정일원, 배덕효, 임은순(2007)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I): 유역별 유출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3호, pp. 205-214 https://doi.org/10.3741/JKWRA.2007.40.3.205
  16. 한국건설산업연구원(2004) 기후변화가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연구보고서
  1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5)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I, 연구보고서
  1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6)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II, 연구보고서
  19. Bae, D.H., Jung, I.W., and Chang, H., (2008a) Long-term trend of precipitation and runoff in Korean river basins,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pp. 2644-2656 https://doi.org/10.1002/hyp.6861
  20. Bae, D.H., Jung, I.W., and Chang, H. (2008b) Potential changes in Korean water resources estimated by high-resolution climate simulation, Clim Res, Vol. 35, pp. 213-226, doi: 10.3354/cr00704
  21. Blenkinsop, S. and Fowler, H.J. (2007) Changes in drought frequency, severity and duration for the British Isles projected by the PRUDENCE regional climate models, Journal of Hydrology, doi: 10.1016/j.jhydrol.2007.05.003
  22. Choi, Y. (2002) Trends in daily precipitation events and their extre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Korea So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11, pp. 189-203
  23. Dietz, E.J. and Kileen, A. (1981) A nonparametric multivariate test for monotone trend with pharmaceutical applic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76, pp. 169-174 https://doi.org/10.2307/2287063
  24. Fowler, H.J., Ekstroom, M., Kilsby, C.G., and Jones, P.D. (2005) New estimates of future changes in extreme rainfall across the UK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integrations. 1. Assessment of control climate, Journal of Hydrology, Vol. 300, Issues 1-4, pp. 212-233 https://doi.org/10.1016/j.jhydrol.2004.06.017
  25. Hirsch, R.M. and Slack, J.R. (1984)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pp. 727-732 https://doi.org/10.1029/WR020i006p00727
  26.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Scientific Basis, IPCC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7. Mann, H.B. (1945) Nonparamete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13, pp. 245-259 https://doi.org/10.2307/1907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