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evance between Subway Commuting Travel Time and Spatial Extent of the Catchment Areas

지하철 통근통행시간이 역세권의 공간범위에 미치는 영향분석

  • Received : 2007.06.27
  • Accepted : 2007.07.21
  • Published : 2008.01.31

Abstract

Nowaday, the local governments eager to change their transport system aiming for public transport oriented one.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change the land use system in the catchment areas of public transport in order to enhance its usage sustainably for the long run. This research aims to seek maximal spatial extent of the catchment areas of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in consideration of its urban spatial structure in order to accommodate the potential users living around the subway stations. For this task the empirical data of the household travel survey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nducted 2002 were analysed. It was founded that the walking access times to the subway stations, which can represent their spatial extents, are related to their travel times, bu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given positions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he characteristics of subway commuters also affect them with the conditions. It is to be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an enhancement of its usage by applying to land-use policies of the catchment areas.

최근 들어 시설투자를 통하여 대중교통중심의 교통체계로 전환을 시도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대중교통수송분담율의 제고를 위하여 대중교통 역세권의 토지이용체계를 대중교통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간구조를 고려하여 서울 수도권 지하철 역세권에 대하여 역 주변에 거주하는 잠재적 이용자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도록 역세권의 공간범위를 설정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2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의 통행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철통행시간과 보행접근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역세권의 공간적 범위를 결정하는 보행접근시간은 지하철통행시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나 공간적 위계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지하철통근자의 개인속성도 공간구조적 특성과 함께 보행접근시간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대중교통중심의 개발정책에 반영할 경우 지하철의 안정적인 이용률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웅, 유영근, 최한규(2002)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 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5호, pp. 177-186
  2. 김동찬, 임동민(1999) 역세권의 토지이용 및 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 미아삼거리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대한국 토. 도시계획학회, 제34권 제4호, pp. 25-37
  3. 김성희, 이창무, 안건혁(2001) 대중교통으로의 보행거리가 통행수 단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 36권 제7호, pp. 297-307
  4. 김재홍, 이승일, 이신해(2007) 명시선호실험과 현시선호자료를 이 용한 대도시권 지하철역세권 설정 연구, 국토연구, 제52권, pp. 131-148
  5. 손승호(2005) 서울시 통근통행의 공간구조 변화 : 1996-2002년, 서울도시연구, 제6권 제2호, pp. 79-94
  6. 송미령(1998) 통근자의 통근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공간구 조특성과 인구특성 요인,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3권 제4호, pp. 55-75
  7. 이번송(1997) 서울 거주자의 통근거리 결정요인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6권 제7호, pp. 241-263
  8. 이승일(2000) 교통발생저감을 위한 환경친화적 도시공간구조 연 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5권 제6호, pp. 21-33
  9. 이승일(2004) GIS를 이용한 수도권 지하철 광역접근도 분석연 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3호, pp. 261-275
  10. 이승재, 정일호, 권혁, 류승규(2003) 수도권 통행패턴 변화분석을 통한 교통정책 방향 도출 연구, 국토연 2003-43, 국토연구원
  11. 임희지(2004) 대중교통활성화를 통한 도시공간의 효율적 활용방 안, 토지와 기술, Vol. 17, No. 2, 도시정보, 268 공동발간, pp. 69-86
  12. 전명진, 정명지(2003) 서울대도시권 통근통행 특성변화 및 통근 거리 결정요인 분석 : 1980-2000년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8권 제3호, pp. 159-173
  13. 전명진(1995) 다핵도시공간구조 하에서의 통근행태 - 서울대도시 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0권 제 2호, pp. 223-235
  14. 홍갑선(2007) 승용차는 지속가능한 교통이 아닐까?, 월간교통, 제 110호, pp. 56-59
  15. Calthorpe, P. (1993) The Crisis of Place in America, Metropolis, New York :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6. Cervero, R. (1995) "Commuting in Transit versus Automobile Neighborhood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61, No. 2, pp. 210-225 https://doi.org/10.1080/01944369508975634
  17. Cervero, R., Murphy, S., Ferrell, C., Goguts, N., and Tsai, Y.-H. (2002)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Experiences, Challenges, and Prospects, TCRP Report 102, Washington, D.C.: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18. Echenique, M. (2001) Mobility and Space in Metropolitan Areas, in Echenique, M. and Saint, A. (eds.) Cities for the New Millennium, London: Spon Press
  19. Kagermeier, A. (1997) Siedlungsstruktur und Verkehrsmobilitaet: eine empirische Untersuchung am Beispiel von Suedbayern, Dortmund: Dortmunder Vertrieb fuer Bau- und Plannungsliteratur
  20. Katz, P. (1994) The New Urbanism: Toward an Architecture of Community, McGraw-Hill
  21. Krygsmann, S., Dijst, M., and Arentze, T. (2004) Multimodal public transport: an analysis of travel time elements and the interconnectivity ratio, Transport Policy, Vol. 11, pp. 265-275 https://doi.org/10.1016/j.tranpol.2003.12.001
  22. Lave, C. (1977) Rail Transit and Energy Consumption, Science 2, September pp. 938-940
  23. O'Sullivan, S. and Morrall, J. (1996) Walking distance to and from light-rail transit st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38, pp. 19-26 https://doi.org/10.3141/1538-03
  24.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