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우수이용 효율화를 위한 수질변화와 강우특성 검토

The Investigation of Rainwater Quality Variation and Rainfall Characteristic for the Effective Usage

  • 투고 : 2008.02.25
  • 심사 : 2008.03.13
  • 발행 : 2008.05.31

초록

우수의 생활용수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로 2 m 세로 1 m 크기의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우수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수수질의 pH는 $6.3{\pm}0.3$로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초기강우 5 mm 일 때의 탁도가 5 NTU로 음용수 기준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우수를 생활용수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수 중 중금속 성분은 음용수 기준이하로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우수수질과 강우특성과의 관계는 강우시간이 지속될수록 개선되며, 우수수질은 강우발생전의 대기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 water quality analysis of rainwater collected from catchment equipment ($2m{\times}1m$) was conducted to determine its suitability for domestic purposes, in this study.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pH of rainwater was $6.3{\pm}0.3$, and the turbidity of rainwater was over the 5 times than drinking water guidelines. For the usage of rainwater as the domestic and drinking water, the rainwater is need to treat. The analysis values of heavy metal as the Pb, Cd, Fe, Mn, ${Cr_6}^+$ and Cu was satisfied with drinking guidelines. Rainwater quality was improved in the rainfall duration. Overall results of analysis support the possibility of rainwater as the domestic and drinking water.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1) 수자원 장기종합계획
  2. 건설교통부(2001) 댐건설장기 계획
  3. 이경림, 박진호, 한무영, 이성기(2001) 우수이용 보급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 상하수 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대한상하수도학회, pp. 223-226
  4. 전인배, 송시훈, 지홍기, 이순탁(2001) 우수이용 시스템의 설계와 운영,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 315-320
  5. 최한영, 박석기, 채용곤(2000) 먹는 물 시험방법, 신광문화사
  6. 한무영(2000) 대체수자원으로서의 빗물활용방안, 상하수도학회지, 대한상하수도학회, pp. 207-210
  7. 환경부(2006) 생명을 위한 물
  8. Thomas P.R. and Greene G.R. (1993) Rainwater quality from different roof catchment, Wat. Sci. Tech. Vol. 28(3-5), pp. 291-299 https://doi.org/10.2166/wst.1993.0430
  9. Yaziz, M.I., Gunting, H, Sapari N., and Ghazalli A.W. (1989) Variation in rainwater quality from roof catchments, Wat. Res. Vol. 23, No. 6, pp. 761-765 https://doi.org/10.1016/0043-1354(89)902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