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Preference and Use-Demand Forecasting of Bus Information

버스정보의 선호도 및 이용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8.09.11
  • Accepted : 2008.09.16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o build the system which has high utilization and usefulness for user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information type and use-demand that the use w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preference and demand of utilization for bus information when bus information is offered through cellular phon. The accomplishm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 Firstly, importance on the level of individual factor and the value of change's figure can be evaluated, using preference analysis on bus information by conjoint analysis. Secondly, by establishing the use-demand model bus information using binary logit model, influence factor on whether or not the use of the user. Finally, ordered probit model was built by use behavior model in payment per call or per month of potential user of bus information. Through call times and sensitive analysis by payment methods, elasticity point, optimal payment fee, and use probability was analyzed. This study make application as basic to efficient bus information policy and to improve use rate of bus information in future because this study make it possible to get preference analysis, use-demand analysis and estimation of optimal payment fee which is reflecting various requirement in use of bus information user.

이용자들에게 이용성과 효용성이 높은 버스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종류와 이용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핸드폰 등에 버스정보를 제공했을 경우의 버스정보에 대한 선호도분석 및 이용수요를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성과는 첫째, 컨조인트 분석에 의한 버스정보의 선호도 분석을 통하여 개별 속성 수준들에 대한 중요도, 부분효용 변화치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었다. 둘째, 이항 로짓 모형에 의한 버스정보 이용수요예측 모형을 구축하여 이용자의 이용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이용률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사용하여 버스정보 잠재 이용자를 대상으로 통화당 지불방식이나 월별 정액제의 지불방식별로 이용행태모형을 구축을 통하여, 이용료 지불방식별로 통화횟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이용료에 대한 단위 탄력점을 분석하고, 적정 이용료와 이용확률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선호도 분석,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한 이용수요 예측과 적정 이용료 산정이 가능하므로, 향후 효율적인 버스정보정책과 버스정보 이용률을 제고시킬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화(2003) 버스 노선정보의 이용가치 평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 고승영(2002) 버스도착시간 정보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5호, pp. 175-181.
  3. 김은길(2001) 버스안내시스템 구축을 위한 도착시간예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4. 민경태(2004) 이용자 행태에 근거한 버스정보 활성화 개선방안 연구 :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5. 배덕모(2002) 부천시 사례를 통한 버스정보시스템 운영효과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1호, pp. 7-18.
  6. 배상훈, 김영섭(2003) 실시간버스 위치데이터를 활용한 통행시간 추정, 한국LBS학회 논문지 창간호, 한국LBS학회, 제1권 제1호, pp. 73-79.
  7. 빈미영, 김효빈(2004) 버스정보시스템 구축 전략 및 사업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8. 빈미영, 김효빈(2005) 실시간 버스도착정보의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6호, pp. 81-89.
  9. 석종수(2003) 인천광역시 버스안내시스템 시범 사업 평가 및 발전적 확대 방안, 인천발전연구원.
  10. 유은수(2005) 선호의식자료(SP Data)를 이용한 버스정보시스템(BIS) 선택형태에 관한 연구 : 수원시와 안양시의 버스이용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협성대학교 대학원.
  11. 이상건, 윤정호, 고용석(2003)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을 위한 선호도 조사.분석 -안양시 사례를 중심으로-, 제2회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한국ITS학회, pp. 340-344.
  12. 이성우, 민성희, 박지영, 윤성도(2005) 로짓. 프라빗모형 응용.
  13. 이원규, 정연탁(2004) 부산광역시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방안 연구. (재)부산발전연구원.
  14. 정태원(2003)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15. 정헌영, 진재엽, 손태민(2002) 부가교통정보시스템(VITS) 이용수요예측 및 적정이용료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4호, pp. 27-38.
  16. 최장옥(2001) BIS 자료를 이용한 버스통행시간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17. 高見渟史.太田勝敏.原田 昇(1995) バスロケから情報に對する利用者の認識に關する硏究, 日本土木學會, 第50回年次學術講演會, pp. 232-233.
  18. 吉川耕司.加島大地.小出泰弘(1995) バスロケ一ションツステムが利用者の行動に及ぼす效果の評價方法, 日本土木學會, 第50回年次學術講演會, pp. 230-231.
  19. 矢部 努.大 藏 泉.中村文彦(1998) バス停におけるリアルタイム情報提供に對する利用者の評價に關する考察, 日本土木學會, 第53回年次學術講演會, pp. 738-739.
  20. 奧谷正.都島健一(2003) 位置情報を用いた到着時間豫測手法と交通狀況分析に關する考察, 日本 交通工學硏究會, 第23回 交通工學硏究發表會論文報告集, pp. 137-140.
  21. Katrin Dziekan, Karl Kottenhoff (2007) Dynamic at-stop real time information displays for public transport: effects on custom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p. 489-501.
  22. Vani K, Borooah (2002) Logit and Probit, Ordered and Multimodal Models. SAGE UNIVERSITY 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