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 - 수질 변화 분석 (I)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of Anseongcheon Watershed Using SWAT Model (I)

  • 이용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종윤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박민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성준 (건국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투고 : 2008.03.05
  • 심사 : 2008.06.20
  • 발행 : 2008.11.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공도수위관측소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의 유역 수문환경조건을 보다 현실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기상, 수문 자료와 점오염원 운영자료, 저수지의 방류량 자료 및 경작관리 형태의 자료를 구축하여 후속연구인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수질 변화 분석 (II)"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역 현실에 보다 가까운 분석을 위해 유역특성 자료인 점오염원 운영자료, 저수지의 방류량 자료 및 경작관리 형태의 자료를 구축, 분석한 후 모형의 검 보정을 실시하였다. 유역 특성 자료에 따른 분석 결과, 경작관리의 경우 농경지로 인한 수질 부하량의 경향과 흐름이 바뀌게 되며, 저수지 적용자료 적용시는 4-5월 시기의 관개를 위하여 방류를 시도한 패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환경기초시설, 경작관리를 미적용 및 적용시 약 10%의 하천수질 모의결과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역의 실제적인 상황에 근접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유역내의 정확한 자료의 구축과 적용이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유역 특성 자료를 통한 검보정 결과는 (II) 연구에서 기후변화와 토지이용에 따른 유역 수문-수질 변화 분석에 활용되어 보다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atabase of weather, hydrology, 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servoir release and tillage management for SWAT model evaluation of Anseongcheon watershed ($370.1km^2$, the upstream of Gongdo water level gauging station), and to use them for the following research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streamflow and stream water quality. It is expected that the database can achieve the practical analysis of current watershed hydrolog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e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were conducted using the constructed database. The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tillage management affected the temporal shift of pollutant loads, and changed the flow pattern of pollutant transport through cultivation area. It was identified that the April and May irrigation water supply from the agricultural reservoir also affected the streamflow of downstream. The data application of pollutants treatment facilities and tillage management of cultivation area showed about 10% difference in the simulation results of stream water quality. The data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 operation, the tillage management of cultivated area within the watershed and the attributes inclusion of pollutants treatment facilities were proved to be important in SWAT model evaluation. The results of model setup in this study are expected for more reliable model application in the following research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of the study watersh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문성, 박승우(2003) 비점오염모델을 이용한 오염총량모의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Vol. 36, No. 1, pp. 117-128.
  2. 경기성, 김대규, 이은영, 김홍영, 박인영, 이재구(2006) 침투성 살충제 carbofuran의 토양중대사, 충북대학교 농업과학연구, Vol. 23, No. 16.
  3. 김남원, 이정은, 이병주(2007) 한강유역의 다목적댐 운녕에 따른 유황변동 특성 분석 및 평가,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1B호, pp. 53-63.
  4. 김대근, 정재웅, 박재현, 박창근(2007) 적설 및 융설의 영향을 고려한 장기유출모의, 상하수도학회지, 대한상하수도학회, Vol. 21, No. 3, pp. 256-272.
  5. 임상준, Kevun M. Brannan, Saied Mostaghimi, 조재필(2003) HSPF와 SWAT 모형을 이용한 산림유역의 유출 및 유사량 추정, 농촌계획학회. 한국농촌계획학회 Vol. 9, No. 4, pp. 59-64.
  6. 임실군 농업기술센터, http://www.imsilfarm.go.kr/.
  7. 장철희, 김현준, 김남원(2003) 용담댐 유역의 장기-유출 분석을 위항 AVSWAT 2000 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 한국수자원학회.
  8. 정재운(2005) SWAT모형에 의한 주암호 외남천 유역의 비점오염부하 추정,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9. 허성구, 김기성, 사공명, 안재훈, 임경재(2005) 고랭지 농경지의 토양유실모의를 위한 SWAT모형의 적용성 평가. 농촌계획학회지, 한국농촌계획학회, Vol. 11, No. 4. pp. 67-74.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시스템 개발(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
  11. Marlos J.M, White R.E., and Malcom B. (2003) Applying AVS2000 to predict runoff and phosphorus movement from an agricultural catchment to support the modelling of chlorophyll a production., 2nd International SWAT Conference proceeding, pp. 21-26.
  12. Nasra A., Michael B., Philip J., Richard M., Gerard K., and Paul B. (2007) A comparison of SWAT, HSPF and SHETRAN/GOPC for modelling phosphorus export from three catchments in Ireland, Water Reserch, Vol. 41, No. 5, pp. 1065-1073. https://doi.org/10.1016/j.watres.2006.11.026
  13.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2)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 theoretical documentation, U.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14. Saleh, A.J.G., Arnold, P.W., Gassman, L.M., Hauck, W.D., Rosenthal, J.R. and Williams, A.M.S. McFarland. (2000) Application of SWAT for the upper north bosque river watershed,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43, No. 5, pp. 1077-1087. https://doi.org/10.13031/2013.3000
  15. Tomlin, C.D.S. (2003) The pesticide manual, 13th ed. BCPC.
  16. Ritchie, A.G. (1997) Alternative to the Elovich equation for the kinetics of adsorption of gases on solids. J. Chem. Soc.-Farad. Trans. 73, pp. 1650-1653.
  17. Jing, Y., Peter, R., K.C. A., Junm X., and Hong, Y. (2008) Comparing uncertainty analysis techniques for a SWAT application to the Chaohe Basin in China, Journal of Hydrology, Vol. 358, No. 1, pp. 1-23. https://doi.org/10.1016/j.jhydrol.2008.05.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