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ing Household Income Inequality in Korea, 1996-2000 - Impacts of Changing Wages, Labor Supply, and Household Structure -

1996~2000년 한국의 가구소득불평등 확대 - 임금, 노동공급, 가구구조 변화의 영향 -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is study estimates what fraction of the rise i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in Korean between 1996 and 2000 is accounted for by the change in each of the household income components, such as wages, employment, hours of work of household heads and spouses, household structure, and other incomes. The increased disparities of household heads' wages and labor supply explain, respectively, 70% and 34% of the rise in the difference in incomes between the top 10% and bottom 10% households. Changing labor supply of spouses, in contrast, was a strong countervailing force that diminished the measure of household income inequality by 21%.

이 연구는 가구주와 배우자의 임금, 고용, 근로시간, 그리고 기타소득과 가구구조 등, 가구소득을 구성하는 각 요인들이 1996년과 2000년 사이 가구소득불평등도의 증가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가구주 임금불평등의 확대가 외환위기 이후 가구소득불평등 증가의 거의 70%를 설명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구주 노동공급의 변화도 가구소득불평등 변화의 34%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반면 배우자의 노동공급 변화는 가구소득불평등의 증가를 21% 낮추는 강력한 상쇄요인으로 작용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