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ntent Analysis of the Family-related Uni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ractical Arts.Home Economics Textbooks :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Structural Functionalism and Healthy Family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교과서의 가족관련 단원 내용 비교분석: 구조기능론과 건강가정 관점에서

  • Kim, Ja-Young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 Byung-Eu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자영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 조병은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Published : 2008.02.28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within the 7th Curriculum from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structural functionalism and healthy family. A quantitative and in-depth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five elements of family structure, family role, family relation, communication, dating and pregnancy. A healthy family Perspective was found in relation to the elements of family type and family role from the in-depth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the five elements reflected a strong structural-functionalist tendency. In both levels,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a structural-functionalist viewpoint was prevalent in the graphical components of the textbooks, including pictures, diagrams and graphs.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미(2004). 7차 가정교과에서의 양성평등교육내용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기남호, 최유현(2004). 초, 중등학교 실과(기술.가정)교과서 내적 체제의 비교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4(2), 18-33
  3. 김명자, 장지연(2006).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4), 143-156
  4. 김미정, 유태명(2004). 양성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家政교과서 삽화의 단원별 계량적 내용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4), 27-41
  5. 김선경(2002). 6, 7차 실과, 가정, 기술, 기술.가정 교과서에서의 성차별적 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지희(2001). 초등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성별 편중성.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나유경(2005). 한국, 일본, 대만의 가정 교과서 식생활 내용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손주영, 이연숙, 이윤정, 정선희, 전진유, 김윤선 외(2006). 중학생과 학부모의 청소년을 위한 건강가정 교육에 관한 요구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1), 95-111
  9. 손태룡, 이경애(2004).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실과교과서 삽화 분석. 과학교육연구, 29, 91-111
  10. 신상옥, 유태명, 한규정, 윤지현, 홍정숙, 김유정 외(2000). 중학교 가정교과의 열린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업 모듈 및 웹 기반 교육자료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2(3), 19-38
  11. 양순미(2001). 농촌가족의 건강성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양정혜(2004).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한 실과 및 기술.가정교과 내용의 재구조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양정혜, 김지경(2002). 구조기능 이론의 관점으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I.나와 가족생활 단원 내용 분석.대한가정학회지, 40(12), 1-11
  14. 유계숙(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 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15. 유영주(1994). 건강한 가족을 위한 가족원의 역할. 한국아동학회 94년 추계학술대회집, 25-42
  16. 유영주(2002). 건강가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생활과학논집, 6(1), 1-24
  17.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18. 유태명(1998). 중학교 가정 교과와 다른 교과의 교육내용 관련성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0(1), 77-93
  19. 유태명(2006). 가정과교육에서 나와 가족생활 영역의 교육목표와 내용체계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2), 79-95
  20. 윤인경(2004). 제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교과서 비교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4), 1-8
  21. 이연숙(2001).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중학교 가정교과서 가정관리분야 단원의 변천과정 분석(I).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3(1), 73-91
  22. 이정규, 김명자, 모태화, 박미정, 박선영, 조재순(2003).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주생활 단원 영역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2), 35-54
  23. 이지영(2002). 초등학교 실과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가족과 일의 이해' 단원을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춘희(2001).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반영된 가정과교육 내용분석.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전미경, 노영주, 이진경, 김자영, 김지영(2007). 초등교과서에 나타난 가족 개념 연구 I:가족구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167-186
  26. 정미경(1998). 창의성 관점에서의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0(1), 171-183
  27. 정선희, 조병은(2007). '나와 가족관계' 단원에 대한 중학생의 긍정적 인식, 실천성 인식과 가족건강성.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1), 99-114
  28. 정수경(2004). 중.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가족생활' 영역 연계성 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정해숙(2003). 중등 가정과 교육의 성격에 관한 성인지적 접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2), 55-66
  30. 정현숙(2007). 가족생활교육. 서울: 도서출판 신정
  31. 정현숙, 유계숙(2001). 가족관계. 서울: 도서출판 신정
  32. 조희금, 박미석(2004). 건강가족기본법의 이념과 체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31-344
  33. 최정혜(2002).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가족생활 영역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4(1), 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