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표본데이터의 전수화방법 및 '국가도로교통량조사'에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Expanding Collected Sampling Data with the RFID System and Applying in National Road Traffic Volume Survey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논문은 RFID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국가도로교통량조사'에 활용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수행에 있어 RFID 전자태그 보급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먼저 RFID 시스템을 통하여 표본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전수화(표본데이터를 조사지점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의 수로 만드는 과정) 하였다. 최적의 전수화 방법론을 선정하기 위하여 세가지 방법론(시간계수 모델, 퍼지 모델, 신경망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시간계수를 이용한 모델이 최적의 전수화 방법론으로 선정되었다. RFID 시스템을 '국가도로교통량조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제주도'를 모델로 하여 분석한 결과 인프라 구축의 한계로 인하여 상시조사를 대체할 수는 없으나, 수시조사는 활용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통량 조사(상시조사)에 있어 RFID 시스템을 활용한다면 기존 검지기에 비해 비용저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rer, we purpose for applying th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in National Road Traffic Volume Survey. Because there is limitation for shipping RFID Tag on every car, we firstly defined Expansion (process of making the number of all cars which passed survey point from sampling data) and determined the best methodology among 3 methodologies (Time factor Model, Fuzzy Model, Artificial Neural Network). As a result of analysis, Time Factor Model was chosen as the best methodology for Expansion. Also, we analyzed to find an application of the RFID system in National Road Traffic Volume Survey and obtained a possibility applying it. It is expected that if the RFID system is used in Traffic Volume Survey, the survey cost is saved than befo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