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력재와 석산재의 특성이 축조와 담수시 댐체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and/Gravel and Rock Materials on Behavior of Dam during Construction and Impounding

  • Seo, Min-Woo (Univ.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
  • Cho, Sung-Eu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Shin, Dong-Ho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발행 : 2008.06.30

초록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댐이 CFRD 형식으로 축조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지형적 및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석산재를 대신하여 사력재가 댐의 주 축조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사력재를 댐의 주축조재로 이용하도록 댐이 설계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현장에서 채취된 사력재 및 석산재를 대상으로 총 7 case의 대형다짐 및 삼축시험을 수행하였다. 다짐 시험 및 삼축시험을 통해 두 재료의 다짐, 전단 강도, 변형 특성을 산정하였으며, 이로부터 두 재료 사이에 존재하는 특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전단강도에 있어서 사력재가 석산재에 비해 결코 불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나, 변형 특성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실험 결과를 이용한 댐체 거동해석에서는 주축조 영역에 강성이 큰 사력재를 사용한 경우가 석산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변형이 작게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사력재의 강도 및 변형특성이 석산재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석산재를 대신하여 댐의 주축조재료로 사용하여도 안정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CFRD (Concrete Faced Rockfill Dam) has been world-widely constructed due to a lot of advantages which it has compared with rockfill dam and recently, sand/gravel materials, Instead of crushed rock materials, are also utilized as a main rockfill material to overcome ge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Korea, two dams using sand/gravel materials as a main fill material were designed and are being constructed. In this research,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ockfill and sand/gravel materials taken from 2 dam sites were tested by using a laboratory large triaxial testing equipment for a total of 7 cases. From the results of large triaxial and compaction tests, it was observed that two kinds of materials show a little different compaction, shear strenght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It could be expected that the shear strength of sand/gravel material was not disadvantageous compared with that of rockfill materials, however, there was some difference between two materials with respect to behavior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smaller displacements were observed from numerical analysis based on the data from a large triaxial test when the sand/gravel is used as a main fill material compared with the case when the crushed rock material is used as a main fill material. Finally, in spite of a little different shear strength and behavior characteristic between two materials, it was concluded that it will not lead to a significant problem when the sand/gravel material is used as a main rockfill material.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범주, 임은상, 임정열, 박한규, 임희대 (2006), "콘크리트표면차 수벽형 사력댐(CFGD)의 적용성 고찰", 한국지반공학회 봄학술 발표회, pp.818-823
  2. 김용성, 김범주, 신동훈, 박한규 (2006), "CFRD의 담수 후 침하 거동 예측", 대한 토목학회 논문집, Vol.26, No.3C, pp.209-218
  3. 박동순, 신동훈, 김형수, 임정열, 박한규 (2004a), "CFRD의 현재 와 미래", 지반, 한국지반공학회지, Vol.20, No.7, pp.16-27
  4. 박동순, 신동훈, 김형수, 임정열, 박한규 (2004b), "CFRD의 거동 특성 이해", 지반, 한국지반공학회지, Vol.20, No.8, pp.6-16
  5. 박한규, 김용성, 서민우, 임희대 (2005),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의 축조 중 침하거동 특성-대곡댐을 중심으로-",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ol.21, No.7, pp.91-105
  6. 서민우, 신동훈, 하익수, 박한규 (2006), "대형 삼축압축시험을 통한 석산재와 사력재의 거동 특성 평가", 한국지반공학회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844-853
  7. 서민우, 하익수, 정우성, 김범주 (2005), "대형 지반 시험장비를 이용한 댐축조재의 전단 강도 평가",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 회 논문집, pp.5352-5355
  8. 이상종 (2007), 표면차수벽형 Rockfill댐의 사력재 적용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충남대학교
  9. 하익수, 신동훈, 정우성, 김우구 (2005), "입경이 큰 조립재료의 강도정수 산정을 위한 국내 대형 삼축압축시험 수행 사례", 지 반, 한국지반공학회지, 한국지반공학회, Vol.21, No.9, pp.21-32
  10. 한국수자원공사(1999), 댐축조용 조립재료의 대형전단시험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연구보고서, WRRI-GT-99-3, pp.16-18
  11. 한국수자원학회 (2003), 댐설계기준, 219p
  12. Duncan, J. M., and Chang, C. Y. (1970), "Nonlinear analysis of stress and strain in soils",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ASCE, vol.96, No.SM5, pp.1629-1654
  13. Konder, R. L. (1963), "Hyperbolic Stress-Strain Responses: Cohesive Soils"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Division, ASCE, Vol.89, No.SM1, pp.115-143
  14. Kim, Y. S., and Kim, B. T. (2008), "Prediction of relative crest settlement of concrete-faced rockfill dams analyzed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Computers and Geotechnics, Vol.35, pp.313-322 https://doi.org/10.1016/j.compgeo.2007.09.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