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공사의 사례분석을 통한 폐기물 발생량 비교분석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Waste Quantity through a Case Study of Demolition Works

  • 김창학 (진주산업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경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
  • 김효진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 발행 : 2008.08.31

초록

현재 국내 외 가장 큰 관심사중의 하나는 친환경 건설이다. 그 중 건설폐기물의 저감과 재활용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것이다. 건설폐기물은 해체단계에서 가장 많이 배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에, 정부에서는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해체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분리해체를 법제화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해체 과정을 실사하여 폐기물의 발생형태와 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기준이 미비하여 정확한 산출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의 발주량 도면분석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계측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해체폐기물의 정책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ow, one of the greatest concerns at home and abroad is eco-friendly construction. Above all, the reduce and recycle of the construction waste may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The construction waste has been produced most at demolition phase, but the research into that area has not being to make nearly within the country. Recently, as the government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at area, they are making research to improve traditional demolition methods. Also, they are preparing to make a raw to enforce deconstruction during demolition phas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problems and waste types which produced during the demolition works by surveying in site. Until now, in the interior, the right quantity basis has not been suggested, because of the absence of any methods to estimate it accurately. Therefore, this study has compared and analyzed owner's ordering quantity, drawing analysis quantity with measuring the waste to produced at site during demolition works, this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the important materials for future research into the construction waste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주택공사(1996), 구조물의 해체공법에 관한 연구(1)
  2. 건설교통부(2004), 공동주택 철거잔재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해체기술 및 시스템 개발, 건설교통기술혁신사업 보고서
  3. 건설교통부(2006), 해체산업합리화를 위한 제도 및 전문인력 양성시스템 구축, 건설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 1차년도 연구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