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콩으로의 생육특성과 수량의 품종간 비교

The Varietal Comparison in Growth Characteristic and Yield of Vegetable Soybean

  • 이승수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
  • 김창호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식물자원학과)
  • Lee, Seung-Su (Dept. of Plant Resour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Ho (Dept. of Plant Resour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8.06.30

초록

최근 들어 콩을 채소처럼 먹을 수 있는 풋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그동안 풋콩 전용품종들이 개발 보급되어 왔으나 대부분 조생종인 하대두(올콩)형이었며, 과거 우리 선조들이 이용했던 검정 및 갈색 종피를 가진 유색콩을 재배하여 종실에 착색이 시작되는 성숙시($R_7$ 단계)에 수확, 9 10월 추석 송편속이나 밥밑용으로 이용하는 풋콩품종은 적었다. 따라서 콩의 국내 자급율 향상과 이용도를 다양하게 확대할 목적으로 9 10월경 수확할 수 있는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유색콩 품종들의 생육 및 수량을 포함한 풋콩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색 장려품종 6개와 재래품종 3개 등 9품종을 공시하여 발아특성을 비교한 결과 출아는 립중이 무거울수록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출아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2. 수확기는 검정올콩이 7월 30일로 가장 빨랐으며, 논산재래가 10월 21일로 가장 늦은 극만숙종이었다. 3. 경장은 $25{\sim}104\;cm$로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아산재래가 104 cm로 가장 커서 도복지수가 높았으며, 검정올콩이 25 cm로 가장 작았다. 4. 개체당 협수는 $9{\sim}111$개의 분포를 보였는데 가장 많은 품종은 일품검정콩으로 111개이었고 가장 적은 품종은 아산재래로 9개이었다. 5. 풋콩 특성 중 2립협 이상 비율이 높은 품종은 검정올콩이 82%로 가장 높았으며, 황금콩과 검정콩1호가 각각 78%와 73%로 비교적 높았다. 6. 10a당 생협수량은 일품검정콩이 1,567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선흑콩 1,468 kg과 갈미콩 1,397 kg으로 많은 수량을 보였다. 따라서 공시된 9품종 중에서 9 10월에 추석 송편속이나 밥밑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품성에서는 검정올콩, 황금콩 및 검정콩 1호가 높으나 수량이 너무 낮았고, 수량성이 좋은 일품검정콩, 선흑콩, 갈미콩이 풋콩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n the screening of a optimal variety after compare with characteristics of a colored soybean recommended and a vegetable soybean by pure line isolation from the indigenous variety in Chungnam area. The budding period in results compared with a budding property of testing varieties between the recommended colored soybean 6 varieties and the indigenous 3 varieties, was showed that it was delayed by increasing of a grain weight but the budding rate was not significant. And the harvest period was the most early day at the black colored soybean plot at the 30th July and was the latest day at the native variety (Nonsan jaerae) at the 21 th October. The stem length was showed a wide range from 25 to 104 cm, and the Asan jaerae in this result was the highest on 104 cm, but the Geomjeongolkong was the lowest on 25 cm. The number of pod per plant was searched about 9 to 111 range, and the most numerous plot in this experimental varieties was the Ilpumgeomjeongkong as 111 number, on the other hand, the least variety was the Asan jaerae as 9 number. The rate of more than 2 seed per pod in the vegetable soybean property was the highest at the Geomjeongolkong about 82%. Additionally, the Hwangkuemkong and Geomjeongkong 1 was relatively the high levels as 78% and 73%, respectively. At the pod yield per $1000\;m^2$ (10a) was the most much as 1,567 kg at the Ilpumgeomjeongkong. Also, the Sunheukkong and the Galmikong was 1,468 kg, 1,397 kg, respectively. Therefore, the Ilpumgeomjeongkong, Sunheukkong, and Galmikong were proper varieties for the vegetable cultiv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신한, 김재이. 1979. 도복이 대두의 수량 및 기타 형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24(1) : 73-77
  2. 김석동,이영호,김용호,윤홍태,문중경,정우경,박금룡,유용환, 성열규. 1998. 흑색대립 콩 신품종 "선흑콩". 한국육종학회지 30(4) 395-395
  3. 백인열,신두철,박창기,이진오,서형수.1995.풋콩 재배지에 따른 파종시기가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작물학회지 40(1) : 44-51
  4. 정길웅,박금룡,홍은희,김용욱,함영수,김호일.1979.일장처리시간 및 온도에 따른 콩의 품종간 반응과 단일반응 감응시기에 관하여. 조재영박사 회갑기념논문집 pp. : 142-151
  5. 정주호, 황영현, 김달웅. 2000. 한국 콩 장려품종들의 분지관련 형질의 특성. 한국육종학회지 32(1) : 38-44
  6. 주용하,오정행,채제천,성열규,손범영,정길웅.1996a.여름콩의 개화.성숙 및 형태적 특성변이. 한국육종학회지 28(3) : 269-275
  7. 주용하, 정길웅, 주문갑. 1996b. 생태형이 다른 콩의 파종기가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1(1) : 86-94
  8. 주정일, 송인만, 김창영, 노태홍, 정길웅. 1994. 밥밑콩 및 풋콩용 지방재래 유색콩의 주요 특성.농업과학논문집(전.특작) 36(1) : 86-90
  9. 충남농업기술원. 1998. 유색밥밑콩의 풋콩 특성검정 및 재배법 확립시험. 시험연구보고서 : 74-83
  10. 홍은희, 김석동, 유용환, 김홍식. 1992. 풋콩생산과 시장전망. 한국콩연구회지 9(2) : 1-17
  11. 황영현, 이정동. 1998. 고품질 풋콩 육성을 위한 재래 유색콩 유전자원의 농업적 특성 평가. 한국육종학회지 30(1) : 55-64
  12. Boote, K. J. 1980. Response of soybeans in different maturity groups to March plantings in southern USA. Agron. J. 73 : 854-859
  13. Caldwell, B. E. 1973. Soybeans. Amer. Soc. Agron., Madison, Wis. USA. P. 187-210
  14. Cooper, R. L. 1971. Influence of early lodging on yield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Agron. J. 63 : 449-450 https://doi.org/10.2134/agronj1971.0002196200630003003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