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농약중독 사망사고 현황분석과 사고 예방대책

Examination of Pesticide Poisoning Deaths Statistics in Korea and Precautionary Measures Against Pesticide-Poisoning

  • 정미혜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김진화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박경훈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이희동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유아선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김병석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최주현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 권오경 (농업과학기술원 농산물안전성부)
  • 발행 : 2008.06.30

초록

매년 증가하고 있는 농약중독사고 예방대책 마련을 위하여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시스템에서 2000년${\sim}$2005년 까지 최근 6년간의 자료를 제공받아 국내 농약중독사망사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농약중독 사망자수는 제초제 및 살균제에 의한 사망수가 가장 많았고, 약제별로는 특히, 패러�R디클로라이드 액제, 유기 인계 농약, 글라이포세이트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약물중독사고 사망자중 농약으로 인한 사망자가 매년 증가하여 2005년에 68.5% 를 차지하였다. 농약중독사고 원인은 자살 비율이 $80.5{\sim}91.9%$로 농약에 의한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역별 농약중독사망자수를 분석한 결과 주요 7대 도시지역이 전체 사망자수의 평균 21.6%를 차지하였고, 전국 9개 도지역에서 평균 78.4%를 차지하였으며, 직업별 분포는 농림, 어업인이 27.4%, 주부와 학생을 포함한 무직 등 비농업인이 72.6%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자료분석결과, 농약중독사망자수가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사망자수를 줄이고 농약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농업 인에게는 농약안전사용을 위한 교육을 강화하고, 비농업 인에게는 독성이 강한 농약의 구입을 제한하는 등 철저한 농약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data on pesticide poisoning death toll during 2000-2005 was obtained from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analysed to find out any precautionary measures against pesticide poisonings. Pesticide poisoning death toll showed slightly increasing trend with year up to about 3500 in 2005. Most of the pesticide poisoning death cases were intentional self-poisoning accounting for more than 80% of total pesticide poisoning death. The pesticide most often implicated in poisoning death were paraquat dichloride, a non-selective herbicide and organophosphate/carbamate insecticides.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pesticide poisoning death showed urban 21.6% and rural area 78.4%. As for the occupation of the dead,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accounted for 27.4% and non-agricultural workers was 72.6% of pesticide poisoning death. Therefore, government need to take some precautionary measures to reduce the number of pesticide poisoning case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pesticide regulatory authorities encourage and train the agricultural workers to use safe storage boxes and enforce strict regulation for the pre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highly toxic pesticides sales to non-agricultural workers.

키워드

참고문헌

  1. Alvin C. Bronstein, Daniel A. Spyker, Louis R. Cantilena Jr, Jody Green, Barry H. Rumack and Stuart E. Heard (2007). 2006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oison Control Centers' National Poison Data System. Clinical Toxicology 45, 815-917 https://doi.org/10.1080/15563650701754763
  2. CropLife International (1998) : Guidelines for the safe and effective use of crop protection products. Brussels: Belgium
  3. FAO (2002) International Code of Conduct on the Distribution and Use of Pesticides. Rome: FAO
  4. National poisons information service (2007) Annual report 2006/2007. United Kingdom
  5. Swedish poison information centre (2006) Annual report 2005. Swedish poison information centre, sweden
  6. WHO (2004) The Impact of Pesticides on Health: Preventing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Deaths from Pesticide Poisoning. [http://www.who.int/mental health/prevention/suicide/en/ PesticidesHealth2.pdf]
  7. 농약관리법령 고시 훈령집 (2007) 농촌진흥청. 488-498
  8. 박정규, 정성필, 김승환, 유인술, 박준석, 유진현, 양영모, 정시경(2004) TESS 보고양식을 활용한 대전지역의 중독양상. 대한임상독성학회 24(1): -11
  9. 오범진(2006a) 국내 응급실 내원 농약중독실태 분석. 대한임상독성학회 4(1):96
  10. 오범진, 김원, 조규종, 강희동, 손유동, 이재호, 임경수(2006b). 중독감시체계를 이용한 중독정보 수집 및 분석 : 향후적 기초조사 대한임상독성학회 4(1):32-43
  11. 서주현(2007) 국내 농약중독의 일반적 양상. 대한임상독성학회 5(1). 92
  12. 한국사망사고 통계자료 (200-2005).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시스템. http://mdss.nso.go.kr/mdss
  13. 통계청 (2007a) 사망원인통계연보(전국편)
  14. 통계청 (2007b)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청. http://www.nso.go.kr/std2006/k07c__0000/k07cb_0000/ k07cb_0000.html
  15. 통계청(2007c) 한국표준질병.인사인분류. 통계청. http://www.nso.go.kr/std2006/k07c__0000/k07cb_0000/ k07cb_0000.html
  16. 통계청(2007d) 한국행정구역. 통계청. http://www.nso.go.kr/std2006/k07e__0000/k07e__000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