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버스정류장 소공원화 방안

A Proposal of Bus Stop Park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Street Environment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 김수진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 최영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정해준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S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 Kim, Soo-Jin (Institute of Life Science & Natural Resource, Korea University) ;
  • Choi, Young-Ji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Jung, Hae-Joon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발행 : 2008.06.30

초록

버스정류장은 기다림, 만남, 휴식 등 다양한 이용행태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따라서 이용의 요구들을 만족시켜야하며, 이용자들에게 쾌적감과 만족감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현재 버스정류장은 경관, 생태 및 행태를 고려하지 않고 인위적이고 획일적인 형태로 조성되어 이용자들은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작지만 요긴하고 편리함을 상징하는 도시소공원을 버스정류장과 결합시켜 시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가깝게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의 양적 증대뿐만 아니라 도시경관의 향상 및 다양한 형태의 공원조성 등 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사례지의 조사를 통해 버스정류장에 소공원을 연계시킴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효과들은 첫째, 소공원은 버스를 기다리는 버스이용자에게 쉼터를 마련해준다. 둘째, 편의시설들에 더하여 모자란 휴식공간을 공원이 보완해주며, 버스탑승과 공원이용을 편리하게 해준다. 셋째, 버스정류장의 기능인 버스의 승 하차 및 공원의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다기능적 공간으로 효율적인 공간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문화적인 요소를 가하여 지역의 색을 나타낼 수 있는 상징적인 랜드마크적 요소가 될 수 있다. 다섯째, 공원에 존재하는 녹지는 그린웨이의 한 거점으로서 도심지의 환경복원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정류장의 소공원화를 제안하기 위해 선정된 지표를 토대로 일반적인 버스정류장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버스정류장에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거나 또는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공간을 조사하여 해결방안을 찾아보았다. 또한, 현재 존재하지 않는 이 새로운 형태의 공간을 버스정류장공원(Bus Stop Park)라 정의하고, 이를 조성하기 위한 사례들의 모듈을 제안하였다.

Bus stops are places that a variety of things happen including waiting, meeting and taking breaks. Therefore, these locations need to be made to meet the usage demands. They should be landscaped to provide a comfortable and satisfying environment for users. At present, bus stops are made with artificial materials and are all unified in form without consideration to landscape, ecology and other characteristics. Users are exposed to the poor surroundings. However, if small urban parks, which are of vital importance as well as extremely convenient, were connected to bus stops, the results would be a quantitative increase in the leisure locations and a qualitative change in the form of improved landscape and various forms of park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nnecting bus stops and small park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mall parks provide resting areas for waiting passengers and buses. Second, it provides presently insufficient rest areas with convenience facilities and makes it more comfortable to take buses and use the park. Third, it provides a multi-functional efficient use of space that functions as both bus stop and park. Fourth, it can be a symbolic landmark that can represent the color of the area by adding a cultural element. Fifth, the existing green space in the park can contribute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ity. This study deduced general problems surrounding bus stops on the basis of selected indices and researched bus stops which are being used as parks and the places which have the potential for such purposes, in order to suggest a plan of attack. In addition, this proposal can create a new form of space, the bus stop park, and try to create a module of cases to establish it.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1990)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해설 및 규칙
  2. 건설교통부(2007) 보도 설치 및 관리지침
  3. 권영종, 김황배(2005) 대중교통환승센터 유형별 설계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0(2): 121-133
  4. 권영주(1978) 도심지 소공원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도경(1999) 도시 내 자투리 땅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2(2): 22-52
  6. 김득곤, 형성은(2001) 가로시설물의 조형이미지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조형논총. 6(1): 50-75
  7. 김종하, 김성화(2001) 대구시 대표가로경관의 색채현황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15(2): 47-55
  8. 김혜련(2005) 지역별 대중교통인프라 평가지표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문호, 정석, 서효정(1996) 도시소공원의 확보 및 조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10. 박윤주(1998) 도시소공원 이용실태분석 및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8) 걷고 싶은 서울을 만들기 위한 서울시 보행환경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보고서
  12.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서울 대도시권의 업무공간 입지변화 분석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1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환경부(2005) 소규모 대지안의 조경 개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14. 심우경(2004) 도시인공지반의 생태 Corridor 설계기법. 서울: 환경부. 한국환경기술진흥원 보고서
  15. 오승훈(2001) 서울시 시내버스정류장 개선 방안.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금희(2005) 지역별 특성에 따른 도심지 소공원의 지원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상호(1997) 서울시 녹색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녹지 확충 방안. 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18. 이영경, 이병인(2006) 경관유형이 도시사무직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3(6): 1-11
  19. 이은기(2005) 도심지 쌈지공원의 이용 후 평가 및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원규, 정연탁(2004) 부산광역시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방안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보고서
  21. 임혜영(2002) 신호교차로와 버스정류장간 이격거리 산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장경환(1991) 간선도로의 버스정류장 위치선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장태현(2002)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도심 버스 정류장의 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19(2): 67-74
  24. 정지교(2001) 지역특성을 고려한 통행목적별 통행발생 예측모형.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하신우(2006) 미래 디지털 환경 하 서울 노선 버스정류장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Kevin Lynch(1960) Image of the City. MIT Press
  27. Kevin Lynch, Gary Hack(1984) Site Planning. MIT Press
  28. http://bus.seoul.go.kr/5
  29. http://www.gangdong.go.kr/pub/pds/pds.jsp?sc=pds05020101
  30. http://www.gangnam.go.kr/
  31. http://gis.seoul.go.kr/StatisticalMap/index.jsp?Sid=005_01
  32. http://www.moleg.go.kr/main/main.do
  33. http://www.nowon.seoul.kr/template/html/portal/data/statistics/2006/ index.html
  34. http://songpa.seoul.go.kr/hanjung_frame.asp?idx1=7
  35. http://www.sysbas.com/main.html
  36. http://traffic.seoul.go.kr/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