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geing and the Employment of Aged Workers of Seoul

  • 박삼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진종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구양미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논문은 서울의 인구고령화 현상을 살펴보고 이들 고령자 취업의 지역적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서울시 구별 자료를 토대로 노령화지수와 장수도를 산출하여 시 공간적 변화와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취업알선센터의 자료를 통해 구인처와 구직자, 취업자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서울의 인구고령화는 다른 지역에 비해 최근 들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서울 내에서 각 구별로 지역적 차별화를 보였다. 고령자의 취업현황을 살펴보면 단순노무직 비율이 전국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고용의 지역적 차별화로 인해,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고령자를 위한 고용기회가 충분하게 주어지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구인처와 구직자, 취업자간에는 지리적 부조응(geographical mismatch)이 나타났는데, 이는 고령구직자가 자신의 주거지 주위에서 적절한 일자리를 얻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령자의 낮은 이동성을 고려할 때 정책적 제도적 지원 및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geing and the employment of aged workers in Seoul. Population indexes such as aged/child ratio and longevity degree are analyzed to identify the time-spatial changes and differentiation of population ageing by Gu. Job offerers, job seekers and employees related to the aged workers are also analyzed using data from Center of Job Placement for the Aged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 that population ageing of Seoul has progressed faster than other regions in recent years. In addition, regional differences in tendency of population ageing is obvious even within Seoul. The percentage of unskilled laborer is much higher in Seoul compared with other regions. There is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in employment of aged workers among regions within Seoul. The employment opportunity of the aged is high in core economic areas of Seoul, while low in the outer residential area. This shows geographical mismatch between job offerers and seekers, which means that it is difficult for aged workers to get the jobs near to their residence. Accordingly, governmental support and intervention is needed considering their lower mo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신욱, 2005, '고령화사회에 대응한 인적자원개발 방향, ' 직업과 인력개발, 여름호, 4-15
  2. 김승용, 2005, '도시노인인구의 인력재활용방안, ' 도시문제, 5월호, 36-48
  3. 김현진, 2004, '고령화의 사회. 정치적 영향: 한국과 일본 의 경우, ' 사회연구, 1, 81-97
  4. 노병일, 2004, '노인근로자를 위한 고용친화적 제도, ' 사회과학논문집(대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2(2), 173-194
  5. 박삼옥. 박상철. 최성재. 이정재. 한경혜. 이미숙. 곽충 실. 송경언. 정은진, 2007, 한국의 장수인과 장수 지역: 변화와 대응,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6. 박삼옥. 정은진. 송경언, 2005a,' 한국 장수도(長壽度) 변화의 공간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 187-210
  7. 박삼옥. 송경언. 정은진, 2005b, '호남 장수지역의 산업 연계와 혁신 네트워크,' 대한지리학회지, 40(1), 78-95
  8. 방하남. 신동균. 김동헌. 신현구, 2004, 고령화시대의 노 동시장변화와 노동정책의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9. 변재관, 1999, '노인인력활용의 활성화방안, '21세기의 생 산적 노인복지방향, 서울시, 노인복지 워크샵 자료 집, 한국노인복지학회
  10. 서균석, 2007, '고령사회를 대비한 고령자 고용촉진방안, ' 인적자원관리연구, 14(2), 61-76
  11. 송경언. 박삼옥. 정은진, 2006, '강원. 제주 장수지역에 있어 서비스기능의 생산연계와 혁신네트워크: 호 남 장수지역과의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9(1), 97-122
  12. 신동면. 양기근, 2003, '고령화사회의 노인고용정책 방향 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23(3), 111-128
  13. 이승협, 2006, '고령사회의 노인소득보장에 관한 연구: 지 역노동시장 실태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정책, 27, 201-223
  14. 임춘식, 2003, '고령화 사회의 노인인력 활용정책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연구, 22(겨울호), 55-77
  15. 장지연, 2004, '고령인력의 활용과 노동시장정책, ' 사회연구, 1, 99-112
  16. 장지연, 2005,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정책, ' 직업과 인력개발, 여름호, 16-27
  17. 정은진. 박삼옥. 송경언, 2006, '강원. 제주 장수지역의 제조업 생산연계와 혁신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 ' 대한지리학회지, 41(1), 1-21
  18. 지광수, 2005,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정책, ' 산업경제연구, 18(4), 1823-1836
  19. 폴 월리스(유재천 역), 2001, 증가하는 고령인구 다시 그리 는 경제지도, 시유시, 서울
  20. OECD, 2004, Ageing and Employment Policies: Korea, OECD, P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