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반도 여름철 강수특성의 변화

Recent Changes in Summer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ver South Korea

  • Park, Chang-Yong (Department of Geography, Konkuk University) ;
  • Moon, Ja-Yeon (Climate Prediction Divis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 Cha, Eun-Jeong (Typhoon and Asian Dust Divis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 Yun, Won-Tae (Climate Prediction Divis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 Choi, Young-Eun (Department of Geography, Konkuk University)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한반도 여름철 강수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장기간($1958{\sim}2007$년) 관측을 수행하고 있는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강수량의 변화 경향을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여름철($6{\sim}9$월) 강수량의 연변화를 분석하고 여름철을 장마와 장마 후 강수기간으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장마기간에는 남서풍과 준정체전선의 영향으로 산악지역의 풍상측에서 최대 강수량이 발생하였으며 장마 후 강수기간에는 한반도 주변의 서쪽 및 남동쪽에서 유입되는 하층순환장과 함께 태풍, 대류불안정, 저기압성 강수에 의해 주로 남해안과 영동 산간 및 해안지방에서 최대 강수량이 나타났다. 여름철($6{\sim}9$월) 강수량의 시계열 변화에서는 모든 지점에서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이 중에서도 최근 10년이 가장 큰 증가 경향을 보였다. 일 강수량을 10년 단위로 평균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지점에서 최근 10년에 장마 및 장마 후 강수기간의 강수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점별로 증가 경향은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강릉은 장마 후 강수기간의 강수량이 장마기간보다 더 많았으며 최근 들어 장마 후 강수기간의 강수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서울과 부산의 경우는 최근 10년 동안 여름철 강수량의 두 개 최대값 사이의 강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cent changes of summer precipitation in the aspect of temporal and spatial features using long-term($1958{\sim}2007$) observed station data over South Korea. tong-term mean summer precipitation has revealed two precipitation peaks during summer(June to September); one is the Changma as the first peak, and the other is the post-Changma as the second peak. During the Changma perio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aximum precipitation areas is determined by the prevailing southwesterlies and the quasi-stationary front, which results in large amount of precipitation at the windward side of mountain regions over South Korea. However during the post-Changma perio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aximum precipitation areas is determined by the lower tropospheric circulation flows from the west and the southeas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eather phenomena such as Typhoons, convective instability, and cyclones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Yangtze river. The larger amount of precipitation is founded o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and mountain and coastal areas in Korea during the second peak. Time series of total summer precipitation shows a steady increase and the increasing trend is more obvious during the recent 10 years. Decadal variation in summer precipitation indicates a large increase of precipitation, especially in the recent 10 years both in the Changma and the post-Changma period. However, the magnitude of change and the period of the maximum peak presents remarkable contrasts among stations. The most distinct decadal change occurs at Seoul, Busan, and Gangnueng. The precipitation amount is increasing significantly during the post-Changma period at Gangnueng, while the precipitation increases in the period between two maximum precipitation peaks during summer at Seoul and Busa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정웅. 백희정. 권원태, 2005,' 한반도 우기의 강수 특성 과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41(1), 101-114
  2. 기상청, 1995, 장마백서, 345pp
  3. 기상청, 2008, 여름철 강수특성의 변동성 및 변화 연구, 63pp
  4. 김연희. 구해정. 남재철, 2005, '서울지역 강우 특성 분석 을 통한 도시화 영향 평가 -도시화에 의한 강우 평 가-, ' 서울도시연구, 6(2), 165-183
  5. 박성규. 하경자, 2002, '장마의 종관 특성과 장마 형태 변 화에 관한 고찰,' 대기, 12(3), 348-351.
  6. 박순웅. 안현주. 전영신, 1988, '1985년 장마기간에 동부 아세아 지역의 대기순환의 시간적 변화,' 한국기상학회지, 24(3), 22-43
  7. 송혜진. 허창회, 2003, '태풍이 한반도 여름철 2차 우기 발 생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기, 13(1), 362-365
  8. 이태영. 조남산, 2007,' 한반도 8월 강수의 변동성과 특 징, '2007 한국기상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488-489
  9. 이승호. 권원태, 2004,'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변동 -순별 강수량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9(6), 819-832
  10. 차은정, 2006, '장마의 의미, 물과미래,' 한국수자원학회지, 39(7), 69-72
  11. 최영은, 2002, '남부지방의 강수강도와 극값의 변화경향에 관한 연구, ' 환경영향평가, 11(3), 189-203
  12. 하경자. 윤경숙. 전종갑. 박정규, 2005, '하계 몬순 기간 중의 장마의 시작, 종료 및 세기의 정의,' 한국기상학회지, 41(6), 927-942
  13. 한상은. 변희룡, 2001,' 한반도 봄우기의 존재와 형성원 인,' 대기, 11(1), 255-258
  14. Cha, E.J., Kimoto, M., Lee, E.J., and Jhun, J.G., 2007, The recent increase in the heavy rainfall events in august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5), 585-597 https://doi.org/10.5467/JKESS.2007.28.5.585
  15. Choi, K.S. and Kim, B.J., 2007,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s making land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3(2), 97-109
  16. Ha, K.J., Yun, K.S., and Lee, S.S., 2007, August mode in precipit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circulations,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KMS 2007, 478-479
  17. Ho, C.H., Lee, J.Y., Ahn, M.H., and Lee, H.S., 2003, A sudden change in summer rainfall characteristics in Korea during the late 1970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1), 117-128 https://doi.org/10.1002/joc.864
  18. Jhun, J.G., Moon, B.K., and Kwon, M., 2007, Variability of the east asian summer precipitation, Proceed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KMS 2007, 474-475
  19. Oh, J.H., Kwon, W.T., and Ryoo, S.B., 1997, Review of the researches on changma and future observational study(KORMEX), Advances in Atomospheric Sciences, 14(2), 207-222 https://doi.org/10.1007/s00376-997-0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