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ussions on the Distribution and Genesis of Mountain Ranges in the Korean Peninsular (III): Proposing a New Mountain Range Map

한국 산맥론(III): 새로운 산맥도의 제안

  • Park, Soo-Jin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on, Il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수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손일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Recent disputes on mountain ranges in Korea have partially been derived from the discordance of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extent of mountain ranges presented by different researchers and school textbooks. The lack of consensus on the definition and genesis of mountain ranges adds further confus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genetically classified mountain range maps for different usages, map scales and educational purposes. This paper first argues that mountain ranges and mountain ridges should separately be used as different conceptual frameworks to explain complex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in Korea. The new mountain range map (sanmaekdo) proposed in this research puts strong emphasis on tectonic movement and denudational processes to expla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ountains. The new mountain range map has 15 mountain ranges (sanmaek: in total, which are further divided into 7 primary and 8 secondary mountain ranges. The new mountain range map eliminates Jeogyuryeongsanmaek, Myohyangsanmaek, Myeoraksanmaek, and Masingnyeongsanmaek from the existing map, since these have a vague definition and obscure spatial distribution. On the contrary, few new primary mountain ranges (Gilju-Myeongcheonsanmaek, Yangsansanmaek, Jirisanmaek) and secondary mountain ranges (Wolchulsanmaek and Buksubaeksanmaek) are added to the new mountain range map. Other mountain ranges also show a large difference both in their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extent of mountain ranges, compared with the previous map. This is especially the case for Nangnimsanmaek, Hamgyeongsanmaek, Taebaeksanmaek, and Sobaeksanmaek. A few new names are also assigned to Macheollyeongsanmaek (Baekdusanmaek), Gwangjusanmaek (Hwaaksanmaek), Charyeongsanmaek (Chiaksanmaek), and Horyeongsanmaek (Naejangsanmaek), even though they show simila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ith the ones in the existing map.

현재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산맥에 관한 논란은 부분적으로는 산맥 표현에 대한 연구자 혹은 교과서 사이의 불일치, 그리고 산맥의 설정 목적과 성인에 대한 지리학계의 불명확한 설명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인별로 분류된 산맥을 설정 목적, 지도 축척, 그리고 교육 목적에 따라 계층적으로 제시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복잡한 산지분포를 설명하는 개념을 산맥(mountain ranges)과 산줄기(mountain ridges)로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새롭게 제안하는 산맥도에서는 산지의 분포를 결정하는 지반운동과 삭박작용의 공간적인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7개의 1차 산맥과 8개의 2차 산맥 등 모두 15개의 산맥을 제안하였다. 새 산맥도에서는 기존의 산맥 중에서 적유령산맥, 모향산맥, 멸악산맥, 마식령산맥 등이 제외되었다. 제외된 산맥들은 모두 지표삭박작용이 강하게 작용하여 형성된 산지들로 공간적인 분포가 불분명하거나 설정근거가 불명확한 것들이다. 이에 반해 새롭게 추가된 1차 산맥으로는 길주-명천산맥, 양산산맥, 지리산맥이 있으며, 2차 산맥으로는 월출산맥과 북수백산맥이 있다. 기존의 산맥들의 공간적인 범위와 연속성 역시 새롭게 제안된 산맥도에서 많이 변하였다. 특히, 낭림산맥, 함경산맥, 태백산맥, 소백산맥의 경우에는 그 공간적인 범위에서 대폭적인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산맥과 공간적인 범위는 유사하지만 새로운 명칭이 부여된 산맥으로는 백두산맥(마천령산맥), 화악산맥(광주산맥), 치악산맥(차령산맥), 내장산맥(노령산맥)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재, 2000,' 한국의 산맥,' 대한지리학회지, 35(3), 389-400
  2. 김영표. 임은선, 2005,' 한반도 산맥체계의 변천과 문제점 분석, ' 국토연구, 45, 145-163
  3. 김영표. 임은선. 김연준, 2004,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 산줄기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4. 대한지리학회, 2005, '국토연구원의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 와 일방적인 유포에 관한 대한지리학회의 입장, ' 대한지리학회보, 85, 3-6
  5. 라우텐자흐, H., 1945, 코레아, 김종규. 강경원. 손명철 역(1998), 대우학술총서, 민음사
  6. 박수진, 2007a,' 한반도의 지반운동(I): DEM 분석을 통한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 규명,' 대한지리학지, 42(3), 368-387
  7. 박수진, 2007b,' 한반도의 지반운동(II): 지반운동구와 지 진다발지역의 상관관계,' 대한지리학지, 42(4), 488-505
  8. 박수진, 2007c, '산맥체계에 대한 사회적 논란의 쟁점과 대 안,' 대한지리학회 한반도 산맥체계 정비에 관한 토론회 자료집, 5-29
  9. 박수진. 손일, 2005a,' 한국 산맥론(I): DEM을 이용한 산 맥의 확인과 현행 산맥도의 문제점 및 대안의 모 색,' 대한지리학회지, 40(1), 126-152
  10. 박수진. 손일, 2005b, '한국 산맥론(II): 산줄기지도의 제 안,' 대한지리학회지, 40(3), 253-273
  11. 박수진. 신영호. 이차복, 2005, '자연환경자료의 다축척 성과 다계층성을 고려한 지역분류법: 북한지역을 사례로, '2005년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 여수 상공회의소
  12. 박철웅, 2006, '한반도 산맥체계 논의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3(1), 35-58
  13. 북한과학원 지리학연구소, 1999, 조선의 산줄기, 과학기술 출판사
  14. 손일, 2002, '태백산맥이냐, 백두대간이냐?' 지식정보사회 의 지리학 탐색(박삼옥 역음), 한울아카데미, 51- 84
  15. 송언근. 조화룡, 1989, '한국에 있어서 감입곡류 하천의 분포 특성,' 한국제4기학회지, 3(1), 17-34
  16. 이민부, 2005, '교과서에 수록된 산맥도의 비교평가,' 지역 지리학회 2005년 동계학술대회 발표문
  17. 조석필, 1997, 태백산맥은 없다, 도서출판 사람과 산
  18. 진종헌, 2007, 한국의 민족정체성 형성에 있어 상징경관의 역할, 세계화 시대의 한국의 민족과 영토성 다시 읽기, 서울대학교 규장각
  19. 최창조, 1984,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20. 中村新太郞(나카무라신타로), 1930, '地理的特徵, '日本地 理風俗大系16, 朝鮮編, 20-44
  21. Bates and Jacksons, 1968, Glossary of Geology, American Geological Institute
  22. Davis, W.M., 1909, Geographical Essays, New York
  23. Fairbridge, R.W., 1968, The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Reinhold Book Corporation, New York
  24. Geike, J., 1903, Text-book of Geology, Macmillan and Co, London
  25. Geike, J., 1914, Mountains, their Origin, Growth and Decay, D. Van Nostrand and Co., Prinston
  26. Koto, B., 1903, An Orogrphic Sketch of Korea, Journal of the College of Science, X I X, Tokyo Imperial University
  27. Morgan, R.P.C., 2005, Soil Erosion and Conservation(3rd edition), Blackwell Publishing, Oxf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