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pational Radiation Exposure to Hospital Workers: On the Effect of Hematological Change

병원 내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만성적 방사선 피폭에 의한 혈액학적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 Ryu, Jae-Kwang (Asan Medical Center,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 Jung, Woo-Young (Asan Medical Center,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 Shin, Sang-Ki (Asan Medical Center,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 Cho, Shee-Man (Asan Medical Center,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 Dong, Kyung-Rae (Gwang Ju Health College University, Radiological Technology Department) ;
  • Kim, Hyun-Soo (Shin Gu College, Radiological Technology Department)
  • Received : 2008.06.03
  • Accepted : 2008.09.01
  • Published : 2008.10.25

Abstract

Purpose: This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haematological index change by low level radiation exposure in radiological environment our hospital workers. Materials and Method: We gathered the cumulative dose by Thermoluminenscent Dosimeters (TLD) over 9-yr period and examined hematological index counts change (RBC, Hb, Platelet, WBC, Monocyte, Lymphocyte, Neutrophilic, Basophilic, Eosinophilic) both occupational workers and controls. Of a total 370 occupational workers and 335 controls were compared. Results: This analysis has led to the following general observations 1) The average cumulative dose in male and female were $9.65{\pm}15.2\;mSv$, $4.82{\pm}5.55\;mSv$ respectively. 2) In both male and female, there were very low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 period and cumulative dose (r< ${\pm}0.25$). 3) Occupation period was more increased, in male, WBC counts decreased and increased workers, RBC counts decreased workers were more than controls group (p<0.05). In female, WBC counts decreased and increased workers and W-eosino counts decreased workers were more than controls group (p<0.01). 4) Cumulative dose was more increased, in male, W-Lympho counts decreased workers and Platelet counts deceased workers were more than controls group (p<0.05). In female, W-lympho counts decreased workers and RBC counts decreased workers were more than controls group (p<0.05). Conclusions: We can find some kinds of blood index abnormal distribution in occupational radiation workers by comparing with controls. Occupational workers cannot avoid radiation exposure, in spite of the control it. Actually low level radiation adverse effect occurred not dose but probability. So workers must always try to reduce exposure by ourselves, furthermore as long as possible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rapidly that national system on radiation control for worker's health.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의료방사선 작업종사자에게서 직업적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인체 내 생리적인 변화를 통해 만성적 저선량 방사선피폭의 위험도를 예측하며 현 수준의 변화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시내 일개 대형병원에서 최근 1~9년간 방사선 작업종사자로 근무한 370명을 대상으로 남녀 간의 체내 혈액성분의 수치변화를 대조군과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종사자의 1~9년간 평균 방사선 누적선량은 남자가 $9.65{\pm}15.2\;mSv$, 여자가 $4.89{\pm}5.55\;mSv$로 남자에서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1). 2. 남녀 종사자 모두에서 누적선량과 종사기간의 차이에 따른 검사항목들과의 상관성은 매우 미약하였다(r<${\pm}0.25$) 3. 종사기간이 증가할수록 남자에서는 백혈구의 감소자와 증가자, 혈색소의 감소자, 당질의 증가자 비율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여자에서도 백혈구의 감소 및 증가자, 호산구의 감소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4. 누적선량의 증가할수록 남녀모두에서 오히려 이상분포를 보이는 항목은 줄어들었으며, 남자는 림프구와 혈소판의 감소자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여자는 림프구와 적혈구의 감소뿐만 아니라 종사기간에서 이상을 보였던 백혈구의 감소 및 증가자 역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5). 5. 전체적인 변화를 보면 남자 종사자에서는 혈액성분 중 적혈구, 혈소판, 림프구가 주로 감소되며 백혈구는 감소와 증가양상을 같이 보였다. 화학성분 중 당질의 증가가 유의했지만 큰 의미는 없었다. 여자 종사군에서는 남자와 똑같게 백혈구가 감소, 증가 양상을 동시에 보였으며 그밖에 적혈구와 림프구, 호산구의 감소가 유의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록 낮은 선량에 피폭이 되고 있는 의료방사선 종사자일지라도 방사선 피폭에 있어서는 자유롭지 못하여 그 영향으로 인한 체내 생물학적 변화를 겪을 수 있으며 그 변화는 선량에 의존하기 보다는 다분히 확률적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항상 미연에 피폭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종사자 스스로 기울임을 물론 관련 당국 또한 종사자들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하루빨리 구축하여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직업병의 발생의 우려를 없애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