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the Properties According to Time in Cotton Fabrics Sized with Fermented Wheat Starch

통밀 삭힌 풀로 푸새한 직물의 경시적 변화

  • Baek, Young-Mee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won, Young-Suk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Hee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백영미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 권영숙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
  • 이영희 (부산대학교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Received : 2008.11.15
  • Accepted : 2008.12.05
  • Published : 2008.12.2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bility of traditional starch sizes according to time. The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fermented whole-wheat flour were studied. And comparison of stiffness, tensile strength, air permeability, whiteness, and surface observation of cotton fabrics sized with wheat flour and fermented whole-wheat flour before and after 12-years were examined. The amylograph data indicated that ISF-W(Isolated starch flour- white) have good pasting properties than NWF(Natural wheat flour) and ISF-B(Isolated starch flour- light brown). The cotton fabrics sized with ISF-W had higher tensile strength and whiteness, and lower stiffness and air permeability than those of NWF as the time takes 12 years. We identified the stability of traditional starch size using scanning electronic micrograph.

본 연구에서는 전통풀의 하나인 밀가루 풀과 통밀 삭힌 풀로 푸새한 직물의 물성을 12년의 시차를 두고 비교 검토하여 경시적 변화를 고찰해 봄으로써 전통풀의 안정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2년 전후의 푸새직물의 비교에서는 통밀 삭힌 풀로 푸새한 직물이 삭히지 않은 밀가루풀로 푸새한 직물보다 인장강도, 백도는 증가하며, 강연성, 공기투과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통밀 삭힌 경우가 삭히지 않은 밀가루보다 탄수화물 함량도 많고 노화 전반에 관한 안정성이 높은데 기인하므로 삭혀서 풀을 만드는 선조들의 지혜가 과학적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삭히지 않은 밀가루 풀로 푸새한 직물의 경우에는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표면관찰 결과 직물조직 사이에 경화된 이물질이 발견되었으나 통밀을 삭힌 풀로 푸새한 경우는 발견되지 않아 통밀 삭힌 풀에 의한 푸새 직물의 경우가 경시적 변화가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