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Habitat Environment on Bird Community in Forest

산림지역에서 서식지 환경이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 Kim, Jung-S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 Shin, Ju-Ryul (Department of Biology, Kyung Hee University) ;
  • Lee, Hwa-Su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 Koo, Tae-Ho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김정수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 ;
  • 신주렬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 이화수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 ;
  • 구태회 (경희대학교 환경학 및 환경공학)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 effects of disturbance on bird community were studied in Ssanggok Valley and Beopju Temple area, Songni Mt. National Park in $2006{\sim}2008$. We divided three sites by habitat condition such as traffic road(strong disturbance), trail(medium) and control(weak) site. During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n=12),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and density did not differ among three sites, but in breeding season(n=9), number of species(Kruskal Wallis, $x^2$=10.32, p=0.006), number of individuals(Kruskal Wallis, $x^2$=7.118, p=0.028) and species diversity of birds(Kruskal Wallis, $x^2$=9.847, p=0.007)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rail site with medium disturbance than in other sites. In breeding season, nesting and foraging guild rate were not different among three sites. In guild analysis, hole was the highest nesting guild and canopy was the highest foraging guild in three sites.

본 연구는 속리산 국립공원에서 쌍곡계곡 지역과 법주사 지역 내에 위치한 지역 중에서 인간의 의한 교란이 가장 큰 도로개설지역, 교란이 중간 정도인 등산로지역 그리고 간섭이 거의 없는 출입통제지역을 선택하여 산림생태계에서 인간의 교란 정도에 따른 조류군집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번식기와 비번식기의 조사(n=12)에서 조류의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 및 밀도에서는 세 지역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번식기의 조사(n=9)에서는 조류의 종수(Kruskal Wallis, $x^2$=10.32, p=0.006)와 개체수(Kruskal Wallis, $x^2$=7.118, p=0.028) 및 종다양도(Kruskal Wallis, $x^2$=9.847, p=0.007)가 인간에 의한 교란이 중간정도인 등산로 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번식기 조류 군집의 영소 및 취식 길드 분석에서는 세 지역 사이에 영소 및 취식 길드 분포비율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소길드는 세 지역 모두 나무구멍 영소길드가 가장 높았고, 취식길드는 수관층 취식길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