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le/female college students' aims of English education and attitudes to English education for their future children

남녀 대학생의 자녀 영어 교육에 대한 목적과 태도

  • 민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 이진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영어교육과)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urpose of and their attitude to English education for their future children (EEFFC). The subjects were 244 college students in Daegu/Keoungbok area, 120 males (49.2%) and 124 females (50.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X^2$,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using SPSS 12.1). Major findings include: (1)Female students are willing to give English education in their future children's earlier years, and they show more active attitude to EEFFC than male students. (2) The purpose of EEFFC is more deeply correlated to the attitude to EEFFC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3) Concludingly, the more the subjects think that English education is essential for their future children's successful social career, the more they show positive attitude to English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6a) 초등 영어교육 10년의 성과분석을 통한 초,중등 영어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6b) 영어 교육과정 개정시안 및 수준별 수업 활성화 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김경자 (1993)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한 국민학교 영어 교육과정의 일 개념체계. 한국초등교육, 7, 71-91.
  4. 김성숙 (2006) 기러기아빠의 생활 변화와 적응 문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41-158.
  5. 김양희, 장온정 (2004) 장기 분거 가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러기 가족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23.
  6.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부모의 인간관계를 통해 본 신뢰 의식: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2), 103-137
  7. 김의철, 박영신, 권용은 (2005) 한국 세대별 어머니 집단의 가족관련 가치의식 비교 자녀가치와 양육태도 및 부모부양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109-142.
  8. 김재원 (2003) 대학생의 취업준비 및 근로행태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6(1), 211-241.
  9. 김정미 (2005) 대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 대한가정학회지, 43(3), 233-249.
  10. 김창호 (1997) 영어의 조기 교육에 관한 연구. 언어학, 5(2), 117-132.
  11. 송승민 (2005a) EFL환경과 ESL환경에서 영어조기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유형 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387-412.
  12. 송승민 (2005b) 영어조기교육에 대한 한국과 미국 거주 어머니의 신념 비교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5), 749-760.
  13. 신동주 (2007) 유아기 영어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영어학습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1(2), 349-374.
  14. 영어몰입교육과 글로벌 콜센터 (2008. 2. 6) 동아일보. http://www.donga.co.kr
  15. 우남희 (2002) 영유아에 대한 조기 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6. 이명조 (1995) 유치원에서의 영어 조기 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107-126.
  17. 이명조 (2005) 조기영어교육 효율성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3), 107-127.
  18. 전선영 (2001) 대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6(3), 73-95.
  19. 전예화 (2003) 영어교육 어릴수록 효과적인가?. 유아교육연구, 23(3), 285-305.
  20. 최진숙 (2007) 초등단계에 영어조기 유학을 하고 귀국한 학생들의 학부모포커스그룹 인터뷰. 언어학, 15(2), 77-98.
  21. 황혜신 (2005) 조기 영어 교육이 유아의 이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3(4), 497-506.
  22. 황혜신 (2007) 유아의 조기영어교육과 이중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6(4), 699-710. https://doi.org/10.5934/KJHE.2007.16.4.699
  23. 한국교육개발원 (2007) 2006학년도(2006년 3월-2007년 2월) 초중고 유학생 출국 및 귀국 통계.
  24. 한유미, 이진화 (1997). 조기영어교육의 실태와 어머니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高凰論集, 20, 352-342.
  25. Chomsky, N (1972) Language and mind. NY: harcourt Brace & Jovanovich.
  26. Jin, K (1998) Age factor, L1 influence and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J. of the Applied Linguistics of Korea, 14(1), 177-194.
  27. Johnson, SS, Newport, EL (1989) Critical period effect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influence of maturational state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Cognitive Psychology, 21, 60-99. https://doi.org/10.1016/0010-0285(89)90003-0
  28. Lenneberg, EH (1967) Biological foundations of language. NY: Wiley and Sons.
  29. Stipek, D, Milburn, S, Clements, D, Daniels, DH (1992) Parents' beliefs about appropriat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3, 293-310. https://doi.org/10.1016/0193-3973(92)90034-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