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vestigate of Security Service History focused on 1920s aft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Korea

임시정부 수립 후 1920년대에 전개된 경호 활동 고찰

  • 김은정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security service history as enlightenment period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to 1920s. This study used materials by historical facts for the regulations and books in provisional government, newspapers in 1920s. There are four parts conclusion of this study: police depart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security service agency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security service agents of an independence movement, the general society of Korea. Firstly, Kim Gu, a prominent Korean nationalist leader, was understand of security service which was to protect provisional government from the enemy. So, Kim Gu participated in training of security service agents in the police depart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Secondly, there was security service agency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1920s, security service agency and agent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regulation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t the beginning of the security service agency's appearance was influenced on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for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who helped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Thirdly, security service agents leaded an active for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private organizations in 1920s. They carried on an independence movement in defiance of Japanese coercion as nationalist in Korea history. Fourthly, security service came out the general society of Korea in 1920s. The security service was not just for safety, but also for its security system and peace of mind,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political situation, social environment in 1920s. For the this reason, now security service has safety perception in Korea despite the historical progress.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각종 활동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의 초기 정책이나 기관 등을 구성하는데 기틀로 작용되었기 때문에 경호 분야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에 임시정부 수립부터 1920년대의 경호와 관련된 내용을 다각도로 살펴보았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들을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발굴할 수 있었다. 첫째, 임시정부에서 경호는 '정부 수호'의 역할로 인지되었다. 이에 김구는 독립운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경호원들의 훈련까지 관여할 정도로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임시정부에서 경호는 "임시정부지방연통제관련법령집" 중에 '통신원 급 경호원'이란 언급에서 드러난다. 그리고 '경호과(警護科)'의 등장과 함께, 그 업무를 규정한 "도사무분장규정", "부군처무규정"을 통해서도 당시 임시정부 내 경호임무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셋째, 1920년대 국내외 각종 독립운동단체들에서 나타난 '경호부(警護部)'의 활약은 임시정부의 독립운동과 그 맥락을 같이 하는 의열 및 항일무장 투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넷째, 1920년대 대중들의 일상생활에서 경호는 각종 행사의 질서유지, 주요 인사들의 신변 보호 및 안전을 위해서 이루어졌다. 당시 경호 사례를 통해서 볼 때,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경호가 정착하는데 있어 1920년대의 시대적 정황이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