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복식에 나타난 합봉(合縫)현상에 관한 연구- 남자 공복(公服)과 여자 예복(禮服)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actice of Hapbong fou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Men's Official Uniforms & Women's Formal Wear -

  • 구남옥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Ku, Nam-Ok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발행 : 2008.11.29

초록

One of features of fashion in Joseon period is culture of overlapping of several clothes. This culture appeared with Hapbong(合縫:sewing of several clothes as one) at late Joseon period and developed into simpler and more practical fashion culture. Hapbong is mainly identified at men's official uniform such as Jaebok(祭服), Jobok(朝服), Kwanbok(官福), Gugunbok(具軍服), and women's formal dress such as Wonsam(圓衫) and Dangeui(唐衣) which formed several clothes get to be a set. Such fashion was designed to maintain dignity and power while simple to wear. And It has the trace of overlapping visually on the collar, sleeve, breast-tie and others. Hapbong is attributable to thoughts of practical science, post-toadyism, modernization, renovated the system of clothing, and advanced sewing technique.

키워드

참고문헌

  1. 유희경, 김문자 (1999)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11
  2. 國朝五禮儀, 祭器樂器都監儀軌, 宗廟儀軌, 社稷署儀軌, 景長宮儀軌, 大韓禮典 등
  3. 고려대학교박물관 (1990). 복식류명품도록.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p. 230
  4. 최영선 (2004). 조선시대 문무백관 제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08
  5. 최영선 (2004). 조선시대 문무백관 제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18-119 참조
  6. 高宗貫錄 卷25 高宗 25年 10月 丙午
  7.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명선 중. 서울. 석주선기념박물관. p. 81
  8. 朝鮮王朝實錄 世宗 8年 2月
  9. 장정윤 (2004). 조선시대 문무백관 조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2
  10. 고려대학교박물관 (1990). 복식류명품도록.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pp. 6-7 참조
  11. 문화재청(2006). 문화재대관: 주요민속자료 2, 복식 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 187 참조
  12. 장정윤 (2004). 조선시대 문무백관 조복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8
  13.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주요민속자료 2, 복식 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p. 187-188
  14. 國朝五禮儀 (1474)
  15. 朝鮮王朝實錄 世宗 28年 5月 壬辰
  16. 송미경 (2007). 김확(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복식 57(7), p. 102
  17.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명선 중. 서울. 석주선기념박물관. p. 67. 참조
  18. 고려대학교박물관 (1990), 복식류명품도록.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p. 233
  19. 수원능행반차도, 原行乙卯整埋所契扉, 철종철인후가례 도감의궤반차도, 철종어진, 壯勇營提圖, 통신사복식도, 봉사도등
  20. 국가문화유산종합정보서비스, 협수(경기도박물관), 자료검색일 2007. 5 28, 자료출처 http://211.57.113.105/sch/p_museum/full.cgi?v_kw_str=D2:DL+AND+(협수)&v_db_str= &v_cmp_str=&v_db =1&v_doc_no = 00117402&v_disp_type=3&v_list = 1
  21. 朝鮮王朝實錄 高宗 21年 閣5月 25
  22. 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 주요민속자료 2, 복식 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 126
  23. 권혜진 (2001), 당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8
  24. 구남옥 (2001). 조선시대 복식 변천에 나타난 동조현상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2
  25. 윤은재, 손경자 (1994). 해외에 소장된 우리나라 복식의 현황 연구 I. 복식. 23. p. 90
  26. 이문주 (1998.11.13), 朝鮮 後期의 實學思想, 동양철학 산책, 자료검색일 2007. 6. 16. 자료출처 http://web.skku.edu/-sulhang1//majer/ma5/ko14.htm
  27. 정혜경 (1994). 실학사상기의 복식문화 II. 복식, 18(1), p. 107
  28. 박미자 (1996). 한복에 나타난 입상기하학적 구성에 관한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0참조
  29. 이광민 (2005. 6. 28). 민속품을 통해 본 경기도 이야기, 경기박물관 특별전-경기도사람, 경기도이야기, 경기도박물관, 자료검색일 2007. 5. 30, 자료출처 http://www.paba121.com/news/print.php?idxno=198
  30.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유물검색, 재봉틀, 자료검색일 2007. 6. 14, 자료출처 http://www.nfm.go.kr/data/full.cgi?v_kw_str=&v_dv=1&v_doc_no=00001329&opt_s=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