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Framework for Introducing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신동빈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연구센터)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Geodetic Reference System was deferred from 2007 to 2010. Althoug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Korea takes charge of it, the progress is slow without clear policy alternatives. In this regards,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for introducing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Successful foreign countries have well established institutional system for improving their geodetic reference systems. In Kore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nd some municipalities have propelled introduction of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However, none of them have systemical approaches. Althoug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conducted several researches regarding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comprehensive policy measures by central governments are not yet made. It suggests methods of data conversion, organizational structures, financial resources, and other supportive measures. Introduction of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is nationwide project. However, there is not nationwide project promotion and management system yet. This research suggests overall policy frameworks to effectively propel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기존 2007년에서 2010년으로 유예된 세계측지계 전환과 관련하여 국토지리정보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었으며, 기술적 제도적 기반은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다. 그러나 세계측지계의 실질적 적용을 위한 방안이 제시된바 없어 관련기관의 협조 및 진행 또한 미진하며, 세계측지계 전환에 대한 범부처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세계측지계의 도입이 범국가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해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를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변환 대상, 주체, 방법 등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실행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생산 및 유통되고 있는 지리정보의 세계좌표계 변환에 소요되는 비용을 추정하고 예산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가기준체계 구축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측지계 도입으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하고 관련 정책 의사결정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1), 세계좌표계 도입에 따른 기준점 구축 및 관리방안
  2. 국립지리원 (1998), 수치지도 좌표계에 관한 연구
  3. 국립지리원 (1999), 수치지도 좌표계 변환에 관한 연구
  4. 국립지리원 (2000), 무결점 수치지도 제작 연구
  5. 국립지리원 (2001), 수치지도 좌표계전환 연구(I)
  6. 국립지리원 (2002), 세계측지계로의 전환지침 연구
  7. 국립지리원 (2003), 수치지도 좌표계 전환에 관한 연구 II
  8. 국립지리원 (2003),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백서
  9. 국토지리정보원 (2004), 국토지리정보원 30년사
  10. 국토지리정보원 (2005), 1/1,000 수치지형도 좌표계변환 표준작업지침
  11. 서울특별시 (2006), 1/1,000 수치지도 세계측지계 전환 사업
  12. 신동빈 (2007), 국가공간정보에 대한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 방안, 국토연구원
  13. 이석민 (2004),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서울시 지리정보 대응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http://cddis.nasa.gov
  15. http://www.e-gis.or.kr
  16. http://www.euref-iag.net
  17. http://www.fgdc.gov
  18. http://www.ga.gov.au
  19. http://www.gsi.go.jp
  20. http://www.kasm.or.kr
  21. http://www.ngi.go.kr
  22. http://www.ngs.noaa.gov
  23. http://www.ordnancesurvey.co.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