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골조공사 관련 공종 근로자의 안전보호구별 만족도 조사

A Study on the Survey of Worker's Satisfaction with Safety Gear in Structural Frame Work

  • 신한우 (목포대학교 건설공학부 건축공학) ;
  • 김태희 (목포대학교 건설공학부 건축공학) ;
  • 김광희 (목포대학교 건설공학부 건축공학)
  • 발행 : 2008.04.25

초록

Safety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f the construction company don't control the risk, it causes the accident which give the company fatal loss. According to the Korea industrial safety analysis reports, the 25.72% of the disasters are from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13.6% construction disasters are caused by not properly using the safety gears. Therefor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aring Safety Gear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nd the Satisfac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results are ; Carpent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shoes and belt, re-bar work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helmet and shoes, Concrete workers are dissatisfied with the safety helmet and goggl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동춘, 김화중, 건설공사 재해정보 분석을 위한. 사고발생 분류체계의 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17 n.11, pp. 139-145, 2001. 11.
  2. 김창섭, 윤석헌, 건설안전사고의 유형별 분석 및 예방을 위한 개선 방향, 전국대학생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99-202, 2006. 11.
  3. 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www.molab.go.kr
  4. 대한안전산업협회, 업종별 안전작업요령, www.safety.or.kr
  5. 이은동, 조창연, 이준복, 건축공사 기능인력의 안전과 수공구 상관관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7 n.4, pp. 61-68, 2006. 08
  6. 정다운, 여인숙, 이남수, 손창백, 건설공사용 개인안전 장구의 문제점 분석, 전국대학생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219- 222, 2005. 11
  7. 최승모, 손창백, 건설현장의 안전장구 및 안전시설 표준화, 전국대학생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207-210, 2006. 11
  8. 한국산업안전공단, 중대재해원인분석 보고서, 2003-2005
  9. 홍정석, 배대권, 김재준,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활동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6 n.5, pp. 148-157, 200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