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Starcraft Focused: Narratives and Mythologies

서사와 신화론을 중심으로 한 스타크래프트 분석

  • 김서영 (호남대학교 게임애니메이션학과) ;
  • 박태순 (호남대학교 게임애니메이션학과)
  • Published : 2008.04.28

Abstract

This analysis is intended to approach a computer game in the context of cultural-study theories. The semiotics can be applied to various area, and it is assumed to also applied to computer games. In semiotical background we tried to analyze the mythology of Starcraft mainly by using Propp's narratives theory and Brathes' mythologies theory. In the narratives of Starcraft, we fouind some simplified functions which penetrate the internal structure. And while most of the games having paradigmatic flow in narratives, Starcraft has syntagmatic flow mainly because of the function of network. With these conditions, we could find some mythologies in Starcraft : (1) naturalization of discipline and control, (2) time and space as resources, (3) deprivation of values of object.

컴퓨터게임에 대한 문화연구적인 접근을 도모하였다. 다양한 영역에 활용되고 있는 기호학이 역시 컴퓨터게임에도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러한 기호학적 배경 하에서 프로프의 서사이론과 바르트의 신화론을 활용하여 스타크래프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타크래프트의 서사에서 몇 가지 단순하지만 내적 구조를 관철하고 있는 기능들을 찾을 수 있었는데, 그 기능의 논리는 자본주의의 논리를 모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게임이 계열체적인 서사의 흐름을 갖는 반면에 스타크래프트는 그것의 네트워크 게임이라는 특성 때문에 통합체적인 흐름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 속에서 훈육 통제의 일상화, 시 공간의 자원화, 대상의 몰가치화라는 신화들을 찾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혜실, 디지털시대의 영상문화, 소명, pp.139-142, 2003.
  2. 자넷 머레이, 한용환, 변지연, 사이버서사의 미래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안그라픽스, pp.80-102, 2001.
  3. 박동숙, 전경란, "상호작용내러티브로서의 컴퓨터게임텍스트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3호, pp.75-77, 2001.
  4. http://gamestudies.org/0101/Ryan.
  5. 윤태진, 나보라, "디지털 게임의 마법 : '주체'와 '호명'의 환상", 게임산업저널, pp.66-70, 2005.
  6. 최유찬, 컴퓨터게임의 이해, 문화과학사, pp.85-103, 2002.
  7. J. Henry, "Game Design as Narrative Architecture," First Person - New Media as Story, Performance, and Game, MIT Press, 2004.
  8. 전경란, "컴퓨터게임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분석", 디지털 스토리텔링, 이인화, 황금가지, pp.58-63, 2003.
  9. http://www.ludology.org/articles/Frasca_ LevelUp 2003.pdf..
  10. J. 호이징거, 김윤수, 호모루덴스 : 놀이와 문화에 관한 한 연구, 까치, 1993.
  11. 로제 까이와, 이상율,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1994.
  12. A. Espen, "Game Trouble: Narrativism and the Art of Simulation," First Person - New Media as Story, Performance, and Game, The MIT Press, 2004.
  13. 이정엽, "컴퓨터게임 스토리텔링의 원리, 놀이와 서사", 디지털 스토리텔링, 이인화, 황금가지, pp.81-83, 2003.
  14. J. Jesper, "Games Telling Stories?" Handbook of Computer Game Studies, MIT Press, 2005.
  15. http://www.ludology.org/articles/Frasca_ LevelUp 2003.pdf..
  16. http://www.ludology.org/articles/Ludoloty.htm.
  17. Z. Eric, "Narrative, Interactivity, Play, and Games: Four Naughty Concepts in Need of Discipline," First Person - New Media as Story, Performance, and Game, MIT Press, 2004.
  18. E. Umberto, A Theory of Semio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서우석, 기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p.14, 1985.
  19. 김방한, 소쉬르 - 현대언어학의 원류, 민음사, 1998.
  20. 대니얼 챈들러, 강인규, 미디어기호학, 소명출판, pp.75-80, 2006.
  21. R. Barthes, R. Elements of Semiology. trans. by Annette Lavers and Colin Smith, Hill and Wang: N.Y., p.7, 1973.
  22. E. Umberto, A Theory of Semiotics, Indiana University Press, 서우석, 기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5.
  23. J. Espen, Aarseth, CYbertext - Perspective on Ergodit Literature, Hopkins University Press, 1997, 류현주, 사이버텍스트, 글누림, pp.60-61, 2007.
  24. Anderson, Peter B gh, A Theory of Computer Semiotics : Semiotic approaches to construction and assessment of computer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5. 움베르토 에코, 김광현, 기호와 현대예술, 서울: 열린책들, p.279, 1998.
  26. R. Barthes, Mythologies, Seuil, 1957, 이화여대 기호학연구소, 현대의 신화, 동문선, pp.11-26, 1987.
  27. C. Metz, Movies, and Methods, by Bill Nichol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586, 1976.
  28. 움베르토 에코, 기호와 현대예술, 김광현, 서울: 열린책들, p.280, 1988.
  29. C. Metz, Film Language : A Semiotics of the Cinema. trans. by Michael Taylor, Oxford University Press : N.Y. 1974.
  30. R. Barthes, Mythologies, Seuil, 1957, 이화여대 기호학연구소, 현대의 신화, 동문선, pp.264-266, 1997.
  31. 김치수, 김성도, 박인철, 박일우. 현대기호학의 발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130, 1998.
  32. V. Propp, trans by L. Scottt, Morphology of the Folktale, University of Texas Press, pp.19-24, 1968.
  33. 김정민, 임성춘, 장진남, 이윤열, 스타크래프트 1.08 빌드오더, 위저드, 2001.
  34. 로제 까이와, 이상율,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p.58, 1994.
  35. 엔터니 이스트호프, 무의식, 이미선, 서울: 한나래, 2000.
  36. W. Wright, Sixguns, and Society : A Structural Study of the Wester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37. 김태홍, 라도삼, 장후석, 스타크노믹스, 소프트뱅크미디어, p.165, 2000.
  38. 권병수, "온라인게임과 텍스트상호작용 : (Warcraft2) 와 (C&C)", 이재현, 인터넷과 온라인게임, 커뮤니케이션북스.pp.219-220, 2001.
  39. 미셀푸코. 감시와 처벌, 오생근, 나남, 1994.
  40. 강석재, 이호창. 생산혁신과 노동의 변화 - 포스트포드주의 논쟁-새길, 1993.
  41. 윤선희, "PC방과 네트워크게임의 문화연구 - 스타크래프트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2호, p.343,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