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CSMA Protocol Based on the Network Status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동적 CSMA 프로토콜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is a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when nodes use a shared channel.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collision and increase the performance, the station lust checks the state of the channel. In this paper, we stud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based on p-persistent strategy. The p-persistent method reduces the chance of collision and improves the efficiency. However, a probability p and the number of station affect the performance. This paper proposes a dynamic CSMA multiple access based on the network status. If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is low, the station increases the probability p to improve the performance. In the opposite case, the station decreases the probability p.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any methods of CSMA multiple access according to the current persistent strategy.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는 여러 노드들이 채널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 노드들의 접속을 조절해 주는 기술이다. 여러 노드들이 채널을 공유하므로 발생하는 충돌 가능성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본 논문에서는 CSMA의 다양한 persistent 방법 중 네트워크 효율성과 충돌 확률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p-persistent 방법을 기반으로 성능향상 방안을 연구하였다. p-persistent 방법이 네트워크 효율성과 충돌 확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는 있지만,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노드 수에 따라 전송 확률 p는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노드의 전송 확률을 조절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충돌 가능성이 적은 경우에는 p를 증가시켜 데이터의 전송을 늘리고, 충돌 가능성이 많은 경우에는 p를 감소시켜 충돌을 줄임으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동적 CSMA 다중접속 방식과 기존의 p-persistent 방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