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Pedestrian Signal Timing Mode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nd Pedestrians

토지이용 및 보행자 특성을 고려한 보행신호시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8.04.30

Abstract

Currently, the pedestrian signal timing model has no conside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land use patterns and pedestrian behaviors during pedestrian signal timing calculation.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pedestrian signal timing models that could reflect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and land use patterns. For this study, three major variables affecting the length of signal timing were identified: walking speed, perception-reaction time, and density-delay time. Then, the representative values of each variable were estimated through the field studies. By combining this information, several pedestrian signal timing models were developed. The data in this paper can be used for future references, and the walking environments for pedestrians could be improved by applying the models suggested in this paper.

현재 우리나라의 보행 신호시간 산정방법은 토지이용 행태 및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모형 및 변수값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보행 안전성 확보와 보행환경 개선을 위하여 토지이용 및 보행자 특성을 고려한 보행신호시간 산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우선, 모형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보행속도, 인지-반응시간, 여유시간 등으로 세분화하였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이들 변수들에 대한 대표값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추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토지이용 및 가로횡단 특성을 고려한 보행신호시간 모형들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는 향후 관련연구의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제시된 모형은 기존의 획일적인 모형과 비교하여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행자의 행태를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므로 제시된 모형을 적용하여 보행자의 보행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