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atural environment of Hoe-ok cave in Wonju

원주(原州) 회옥굴(窟)의 자연환경(自然環境)에 관(關)한 연구(硏究)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In order to accumulate the basic informations to assess the scientific and natural values of the Hoe-ok Cave located in Mountain Chi-ak, Seong-nam 2 ri, sin-rim myeon, the natural environments in the cave were investigated from November 2004 to June 20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cave was 2.5$^{\circ}C$ in the winter, 5.5$^{\circ}C$ in the spring, 6.8$^{\circ}C$ in the summer. The average humidity in the cave was 82.5% in the winter, 86.0% in the spring, 86.0 in the summer. this results show that the temperature was 10$^{\circ}C$ lower, and the humidity was 4$\sim$10% lower than those in the Go-su Cave. Inside of the Heo-og Cave, the damages from the garbages and smoke stains by the reckless civilians are expanding. It is necessary to execute the research on the geological facts of the cave and the reassessment on its values in the natural history.

치악산에 위치한 신림면 성남2리에 있는 회옥 동굴 내부의 자연환경에 관해 2004년 1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현장조사,연구를 통해 동굴생물의 서식환경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동굴 내 평균기온은 겨울철은 2.5$^{\circ}C$, 봄철은 5.5$^{\circ}C$, 여름철은 6.8$^{\circ}C$이며, 평균습도는 각각 82.5%, 86.0%, 86.0% 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수동굴에 비해 온도는 10$^{\circ}C$, 습도는 4$\sim$10%정도 낮은 결과이다. 회옥굴 내부는 일반인의 무분별한 출입으로 생활쓰레기와 불에 그슬린 동굴 벽 등 훼손이 점점 더해져 가고 있다. 앞으로 지질학적인 가치평가를 더해 문화재적가치의 기준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우, 1990, 동굴의 생물상. 고수동굴의 환경 및 안전진단 연구보고서. pp. 28-33.(주) 원천
  2. 김병우, 1991, 협재동굴지대 학술조사보고서. 동물상. pp. 194-208 (주) 한림
  3. 김병우, 1993, 고수동굴 학술조사보고서. 동굴의 생물상. pp. 135-150 (주) 유신
  4. 김병우, 1994, 고씨동굴의 환경보전 및 안전진단학술조사연구보고서. pp. 47-60. 영월군
  5. 김병우, 1996, 천곡동굴의 생태계 조사보고. 한국동굴학회지. 45: pp. 29-40
  6. 김병우, 2002, 3. 동굴 생태계. 비지정 천연동굴(양당리굴,북상리굴) 학술조사 보고서. 한국동굴학회. pp. 17-18, 181-185
  7. 김병우,최용근,서호영,이훈,김원록,이원철, 2004, 한국 동굴생물상 목록 및 연구 전망. 환경생물.53: pp. 13. 한국환경생물학회
  8. 남궁준, 1986, 한국의 중요 동굴동물의 모식산지의 보존문제. 한국동굴학회지. 13. pp. 49-67
  9. 남궁준, 조규송, 1987, 경관 및 환경보존. 대이리동굴군 학술조사보고서 .pp. 135-140
  10. 박상영, 2003, 학위논문, 신단양 고수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에 관한 연구
  11. 백갑용, 1971, 특수환경의 곤충. 원색과학대사전 (5) 동물. pp. 217-222
  12. 우경식, 2002, 동굴. 지성사. pp. 17-84
  13. 최병렬, 1985, 12, 동굴의 생성과 변천.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 52: pp. 1
  14. 최용근, 1997, 동굴탐험의 세계,한림미디어, pp.35-61
  15. 평창군, 2005, 천연동굴 학술조사 보고서
  16. 환경부, 2002, 전국 자연동굴 조사지침서 작성에관한 연구보고서
  17. 홍현철, 김병우, 1990, 노동굴의 환경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4, pp. 92-96
  18. Hickman CP, LS Roberts and A Larson. 2000. Animal Diversity. McGraw-Hill Comp. pp. 429
  19. Murakami. Y., k. y. Paik, 1968, Result of the speleological survey in South Korea, 1966 XI. Cave-dwelling myriapods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Bull. Natn. Sci. Mus. Tokyo. 11(4): 364-384
  20. Ueno. M. 1966, Result of the speleological survey in South Korea. 1966. II. Gammarid Amphipoda found in subterranean waters of South KOrea Bull. Na수. Sci. Mus. Tokyo. 9(4):501-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