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lkali-silica reactivity for aggregates in Korea according to test methods: accelerated mortar bar test (AMBT) by ASTM C 1260; chemical test by KS F 2545 (ASTM C 289).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MBT (ASTM C 1260) results showed that two (2) igneous rocks (two mica granite and felsite), three (3) sedimentary rocks (arkose, red sandstone and shale), two (2) metamorphic rock (slate and vitric tuff), one (1) mineral (quartz) showed more expansion than 0.1% at 14 days. But, some sedimentary rocks and metamorphic rocks expanded more than 0.1% at 28 days even though they were less than 0.1% at 14 d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experimental dates more than 14 day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lkali-aggregate reactivity. The chemical test (KS F 2545) results showed that five (5) igneous rocks (andesite, diabase, granite porphyry, muscovite granite and diorite) were indicative of potentially deleterious expansion, while two (2) igneous rocks (diorite porphyry and quartz porphyry) were possible indicative of expansion, and three (3) igneous rocks (biotite granite, two mica granite and felsite) were indicative of innocuous reactivity.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results from chemical method (KS F 2545) and AMBT (ASTM C 1260) had little relationship.
본 논문에서는 국내산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암석에 대해 화학적 방법인 KS F 2545와 최근 국제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촉진모르타르 봉 실험 방법 (AMBT)인 ASTM C 1260으로 동일한 골재에 대해 비교 실험을 수행하여 시험법에 따른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평가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화학적 방법인 KS F 2545에 의하여 화성암 중 안산암, 휘록암, 화강반암, 섬록반암, 석영반암, 백운모화강암 그리고 섬록암, 퇴적암의 모든 골재, 변성암 중 점판암 A, 점판암 B, 화강편마암, 규암, 각석암 및 유리질 응회암, 광물에서는 석영이 잠재유해 이상의 평가를 받았다. 촉진모르타르 봉 실험 방법 (AMBT)인 ASTM C 1260에 의하여 화성암 중 복운모 화강암 그리고 규장암, 퇴적암 중 장석사암, 적색사암 그리고 셰일, 변성암 중 점판암과 우백질 편마암 그리고 유리질 응회암, 광물 중 석영이 반응성으로 평가되었다. KS F 2545와 ASTM C 1260에 대한 시험법별 알칼리-골재 반응성 평가 결과 동일한 골재에 대해 서로 상이한 결과를 도출한 골재들이 나타남으로서 두 시험법의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골재의 알칼리-골재 반응성 판별에 최근 국제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촉진모르타르 봉 실험 방법 (AMBT)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