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쌀빵에 대한 인식 및 학교급식 적용 가능성 분석: 교육청 학교급식 담당자를 중심으로

Perception of School Foodservice Officials on Rice Bread as School Foodservice Menu

  • 양일선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민아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산업진흥본부) ;
  • 차성미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산업진흥본부) ;
  • 조윤희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소영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소정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해영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Yang, Il-Sun (Dept. of Food and Nutrition, Yonsei University) ;
  • Lee, Min-A (Dept. of Food Industry Promotion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Cha, Sung-Mi (Dept. of Food Industry Promotion Divis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 Jo, Yoon-Hee (Dept. of Food and Nutrition, Yonsei University) ;
  • Lee, So-Young (Dept. of Food and Nutrition, Yonsei University) ;
  • Lee, So-Jung (Dept. of Food and Nutrition, Chosun University) ;
  • Lee, Hae-Young (Dept. of Food and Nutrition, Sangji University)
  • 발행 : 2008.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육청 학교급식 담당자를 대상으로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가능성 타진을 목적으로 학교급식 담당 실무자의 입장에서 쌀빵에 대한 인식 및 학교급식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분석 조사하였다. 응답한 33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대부분(93.9%)은 여자였으며, 교육청 근무경력은 평균 2년 3.5개월, 학교급식관련 근무경력은 평균 8년 8.4개월이었다. 교육청 관할 하에 있는 학교로는 시 도 교육청 그룹에서는 초등학교의 경우 농어촌형 직영 272.3개교, 중학교의 경우 농어촌형 직영 115.5개교, 고등학교의 경우 농어촌형직영 73.0개교로 가장 많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지역교육청의 관할 하에 있는 학교 유형으로는 초등학교의 경우 도시형 직영 23.3개교, 중학교에서는 도시형 직영 11.6개교, 고등학교의 경우 도시형 위탁 5.3개교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청의 학교급식 지원 분야에 대해 복수응답하게 한 결과, 응답한 교육청 모두에서 저소득층 급식비를 지원하고 있었고 식품비 분야에서는 친환경농산물 12개청(50.5%), 우리농산물 5개청(20.8%), 지역농산물 4개청(16.7%)순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시 도 교육청에서는 저소득층 급식비(중앙값 839.0개교)에, 지역교육청에서는 지역농산물 식품비(중앙값 37.5개교)에 가장 많은 학교를 지원하고 있었다. 지원 금액으로는 시 도 교육청이 저소득층 급식비에 평균 168억원, 지역교육청이 급식종사자 인건비가 평균 10억 5천만원을 지원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급식에서의 쌀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초등학교에서는 평균 91.26%가 정부미, 40.64%가 지역쌀을 사용하고 있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 역시 정부미와 지역쌀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 이용 증진에 대한 교육청의 관심도는 평균 5.00점(Likert 7점 척도)이었고 쌀 이용을 위한 교육청의 지원의지는 평균 4.66점으로 관심이 있다고 조사된 반면, 교육청이쌀 이용 증진을 위한 방안 및 정책을 시행한 경험은 평균 3.31점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정책 시행 경험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급식에 쌀빵 메뉴 적용을 위한 방안 및 정책에 대해 교육청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관심도는 평균 4.35점, 쌀빵 지원의지는 평균 4.14점, 급식에 쌀빵 적용의 바람직성은 4.71점, 급식에 쌀빵 적용 실현가능성은 4.69점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낸 반면, 쌀빵 적용 방안 및 정책의 시행 경험은 2.18점으로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지원방법은 '관련 조리기기 지원'(예: 오븐) 19명(57.6%), '보조금 지급', '납품가 할인' 각 9명(27.3%), '현물(쌀빵)제공' 8명(24.2%)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할 때의 장점으로는 다수가 '쌀 소비 촉진' 24명(72.7%)이라고 응답하였고, '영양적우수성' 18명(54.4%), '건강 지향적인 학교급식 이미지 제고' 17명(51.5%), '제공메뉴의 다양성' 12명(36.4%)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장애요인으로는 '조리시설(오븐 등)의 부족' 24명(72.7%), '비교적 높은 원가' 18명(54.5%), '식단 적용의 한계', '제한적인 조리방법'은 각 13명(39.4%), '급식정책의 미흡' 5명(15.2%), '업체의 홍보부족' 4명(12.1%)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다섯째, 교육청의 학교급식에서의 쌀 이용에 대한 의견과 쌀빵 적용에 대한 의견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급식에서의 쌀 이용 증진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지'는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또한 '관심'과 '지원의지'는 쌀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및 정책을 시행한 '경험'과 관련성이 있다고 조사되었다(각 p<0.05, p<0.01). 또 학교급식 메뉴에의 쌀빵을 적용하는 것에 있어서도 쌀빵 적용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쌀빵 적용의 '바람직성'과 '지원의지', 쌀빵 적용의 '실현가능성' 역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p<0.001). 쌀 이용에 대한 관심이 적은 그룹과 관심이 많은 그룹 간에는 학교급식 메뉴에 쌀빵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으며, 쌀 이용 증진을 위한 지원의지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간에는 쌀빵 적용을 위한 정책을 시행한 경험에 대한 문항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쌀 이용 증진을 위한 정책을 시행한 경험 여부에 따른 두 그룹 간 학교급식 메뉴의 쌀빵 적용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 결과, 쌀빵 적용에 대한 관심, 지원의지, 정책 시행 경험 문항에 있어서 경험 많은 군이 경험 적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p<0.01). 이상의 연구 결과는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 및 확대하는데 앞서 정책실행의 주체가 되는 교육청 담당자들의 인식을 파악한 것으로 앞으로의 쌀빵 적용 증진 계획을 효율적으로 세우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구결과와 같이 대부분의 교육청 급식 담당자들이 쌀 소비 촉진 및 영양과 건강증진 등의 이유로 쌀뿐만 아니라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하는 것에 의지와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나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쌀빵을 학교급식에 확대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육청 담당자들의 이런 의지와 관심을 더욱 확고히 하고 현실적인 지원, 예를들어 오븐 및 현물 지원 등의 적극적인 지원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인 교육청 급식담당자의 표본수 확보에 한계를 보였고, 아직까지 상용화 및 급식현장에서 제공되는 비율이 미미한 쌀빵이 조사의 주제어였기에 응답자의 인지도 및 인식 부족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작용하였다. 향후 급식현장에서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영양(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쌀빵관련 연구가 진행된다면 쌀빵 사용 확대에 현실적인 지원책 마련에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upporting status and subsidy for school food service an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chool food service officials at the educational board on using rice bread to the school food service menu.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content analysis, situation analysis, in-depth interview and checked by the school food service officials at the educational board. The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by 33 officials (respondent rate: 86.8%) during September 1 to October 26 in 2007.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women (93.9%), and worked an average of 104.36 months at school-related work. The metropolitan &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had prevalently jurisdiction over 272.3 rural and self-operation type of elementary schools, 115.50 rural and self-operation type of middle schools and 73.0 rural and self-operation type of high schools. In the case of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23.3 urban and self-operation type of elementary schools, 11.6 urban and self-operation type of middle schools and 5.3 urban and contracted type of high schools were averagely managed. Second, all the respondents supported meal cost for low-income group and 50.5% provided reimbursement for organic environmental agricultural products. The highest subsidy was 16.8 billion won as meal cost for low-income group in metropolitan & provincial office and 1,050 million won as labor cost in district office. Third,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policies for using rice was relatively lower than perception of rice bread application to school food service menu. Fourth, the advantages of using rice bread were acceleration of consuming rice (32.0%), excellence of nutrition (24.0%) and promotion of healthy image (22.7%).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ies of using rice bread were lack of facilities (72.7%), higher cost compared to wheat bread (54.5%), limitation of menu application and cooking method (15.7% each). Fifth, the opinion of utilizing rice and that of applying rice bread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001). Desirability and willingness were correlated with reality for applying rice bread to the school food service menu (p<0.001). Also,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ivided groups by perception of utilizing rice showed that willingness and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2007 양곡소비량조사. 2008. p 3-11
  2. 농림부. 2007 농림업주요통계. 2007. p 250-497
  3. 김정호, 성명환, 강혜정, 한두봉. 2006. WTO체제하에 쌀 산업정책의 평가와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 83-100
  4. Kum JS. 2001. Globalism and commerci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 product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3): 11-22
  5. Sicherer SH, Morrow EH, Sampson HA. 2000. Dose-response in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oral food challenges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105: 582-586 https://doi.org/10.1067/mai.2000.104941
  6. Niggemann B, Reibel S, Roehr CC, Felger D, Ziegert M, Sommerfeld C, Wahn U. 2001. Predictors of positive food challenge outcome in non-IgE-mediated reactions to food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108: 1053-1058 https://doi.org/10.1067/mai.2001.120192
  7. Poole JA, Barriga K, Leung DYM, Hoffman M. Eisenbarth GS, Rewers M, Norris JM. 2006. Timing of initial exposure to cereal grains and the risk of wheat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117(2)Suppl 1: S42 https://doi.org/10.1016/j.jaci.2005.12.174
  8. 정금주. 2001. 쌀 중심의 식생활과 성인병 예방 효과를 중심으로. Korean J Comm Nutr 6: 890-892
  9. 한국식품연구원. 2007. 쌀을 이용한 고품질 베이커리 신제품의 개발-1차년도 보고서. p 18-23
  10. Yang IS, Lee BS, Lee SJ, Lee HY, Jung HY. 2006. Using statu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 service and dieticians' perception. Korean J Food Culture 21: 142-153
  11. Shin BY. 2003. Pro-environment farm products and school foodservice. Foodservice forum material book, The Forum of school foodservice innovation. p 25
  12. Ryu MJ, Suh JS, Lye ES. 2004. The perception of dietitians for using imported and pro-environment farm products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Busan. J Korean Dietetic Assoc 10: 452-466
  13. 한국도시연구소. 2003. 학교급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도시와 빈곤 63: 32-41
  14. United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0. Small farms/school meals initiative
  15. Yoon JH. 2003. Comparison of school food service administration system (Korea vs. U.S.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411-416
  16. 교육인적자원부. 2007. 학교급식개선 종합대책. p 1-127
  17. Hackes BL, Shanklin CW. 1999. Factors other than environmental issues influence resource allocation decisions of school foodservice directors. J Am Diet Assoc 99: 944-949 https://doi.org/10.1016/S0002-8223(99)00225-4
  18. Gross SM, Cinelli B. 2004. Coordinated school health program and dietetics professionals: partners in promoting healthful eating. J Am Diet Assoc 104: 793-798 https://doi.org/10.1016/j.jada.2004.02.024
  19. Lee KB, Lee WS, Shin DM. 1999. Consideration on the point at issue and management state of school lunch. Korean J Sanitation 14(4): 9-20
  20. 최연희. 2006. 우리학교에도 제이미를-학교급식 개선 프로젝트 제이미의 스쿨 디너. 초등우리교육. p 63-65
  21. 교육인적자원부. 2006. 학교급식에 우수농산물 사용 확대방안. 2006 학교급식 연수회 자료집
  22. 이충현. 2007. 학교급식을 위한 고품질 농산물 생산 현황. 교육인적자원부. p 71-91

피인용 문헌

  1. Studies on Nutritionist's Perception and Usage of Rice Products among Foodservice Meals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Gwangju and Jeonnam Area vol.29, pp.6, 2013, https://doi.org/10.9724/kfcs.2013.29.6.815
  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waxy Rice Flour Affected by Grinding Methods and Steeping Times vol.38, pp.8, 2009, https://doi.org/10.3746/jkfn.2009.38.8.1076
  3. Study on the Preparation of Rice Focaccia by Cooking Method of Jeung-pyun vol.28, pp.4, 2008, https://doi.org/10.17495/easdl.2018.8.28.4.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