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nity type and Attitude toward Fashion Luxury Produc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Focused in Ulsan, Pusan, and Kimhae -

여자 대학생의 허영유형에 따른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 울산, 부산 및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8.02.28

Abstract

Female college consumers are orientated toward vanity and fashion luxury products in consume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vanity type and attitude toward fashion luxury produc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17 female college students in Ulsan, Pusan, and Kimhai.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CA were used. Results of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e vanity type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into non-vanity group, positive viewer, and vanity group. Above two third of the total sample were the vanity group and the positive viewer. The non-vanity group, was comprised the smallest propor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fashion luxury products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involvement for fashion luxury, superiority of the fashion luxury, hedonic and conspicious consumption, and negative response. The attitude toward fashion luxury produc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3 vanity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into female college consumers' increasing demands toward fashion luxury brands.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vanity group, and personal financial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s needed in liberal arts curriculum.

Keywords

References

  1. 김형길, 김정희 (2000) 소비자의 물질주의가 허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3(3), 43-68.
  2. 대한주부클럽연합회 (2005) 명품 및 위조상품 유통전반에 관한 의식조사. 월간 소비자, 11.
  3. 박남희 (2007) 의사소통으로서의 상품(명품)에 대한 철학적(해석학적) 고찰: 명품소비와 의사소통의 문제를 중심으로. 해석학연구, 19, 267-293.
  4. 박혜선 (2007) 물질주의와 과시소비성향이 패션 명품과 복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03-110.
  5. 박혜정, 전경숙 (1006) 진품과 복제품 구매의도: 패션명품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5), 530-536.
  6. 백경미, 이기춘 (1993) 물질주의 성향과 준거집단 영향이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효과: 목포시와 광주시 주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1-12.
  7. 서정희, 석봉화 (1998) 청소년소비자의 물질주의 가치와 소비지향적 태도가 과시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2), 131-143.
  8. 서정희 (2004) 여자대학생 소비자의 허영 성향에 관한 연구 - 부산, 울산 및 김해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7(3), 125-140.
  9. 서정희 (2005) 여자 대학생 소비자의 허영과 성형요구-부산, 울산 및 김해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8(1), 1-13.
  10. 성영신, 이지향, 신주리, 정용기 (2004) 명품 vs 대중품 브랜드 로고에 대한 소비자 심리비교: MRI를 통한 지각, 인지 및 정서 반응. 광고학 연구, 15(4), 249-276.
  11. 양숙희, 한수연 (2005) 패션명품 광고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의미: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2), 267-278.
  12. 엄경희 (2005) 해외패션 명품브랜드의 사회문화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1(3), 81-90.
  13. 이선영, 김정화, 이정순 (2004) 패션명품에 대한 의식 및 구매 태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3(6), 927-934.
  14. 이승희 (2006) 패션명품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복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9/10), 113-122.
  15. 이준영, 김난도 (2007) 명품의 소비욕망: 심층면접을 통한 욕망의 삼각형 이론의 적용. 소비자학연구, 18(2), 41-58.
  16. 전경숙, 박혜정 (2005) 자민족중심주의, 패션선도력의 관계 및 명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1), 1498-1506.
  17. 정지원, 정순희, 차경옥 (2003) 물질주의성향과 과시소비성향이 수입명품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81-192.
  18. 정재훈, 김일 (2004) 패션 오리지널브랜드(명품)와 이미테이션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 8(2), 1-14.
  19. 조은아, 김미숙 (2004)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수입명품 및 유명브랜드 의류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8(1), 76-87.
  20. 채진미, 이은영 (2005) 연령과 사회계층 변인에 따른 해외명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빈도. 한국의류학회지, 29(6), 885-895.
  21.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22. 최선형 (2003)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성향이 패션명품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 209-218.
  23. 한수진 (2007) 명품구매경험에 따른 명품구매행동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137-149.
  24. Belk, RW (1985) Materialism: Trait aspects of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514-519.
  25. Dubios, D & Duquense, E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July), 35-44.
  26. Durvasula, S, Lysonski, S. & Watson, J. (2001) Does vanity descrive other culture? A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the vanity scale.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5(1), 180-199. https://doi.org/10.1111/j.1745-6606.2001.tb00108.x
  27. Grossman, GM, Shapiro, C. (1988) Counterfeit-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8(3), 59-75.
  28. Hirshman, E. (1992) The conspicuousness of addiction: Toward a general theory of compulsive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September), 155-179. https://doi.org/10.1086/209294
  29. Netemeyer, RG, Burton, S & Lichtenstein, DR (1995) Trait aspects of vanity: Measurement and relevance to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 612-626. https://doi.org/10.1086/209422
  30. Seo, JH (2005) Vanity and Body Shaping Management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Female Students in Ulsan City.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4), 134-141.
  31. Twitchell, JB (2002) 최기철 옮김(2003) Living It Up: Our Love Affair With Luxury. 서울, 미래의 창.
  32. Zaikowsky, JL (1985)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December), 341-352. https://doi.org/10.1086/208520

Cited by

  1. The Effects of Van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Clothing Behavior vol.35, pp.3, 2011, https://doi.org/10.5850/JKSCT.2011.35.3.347
  2. Difference Age and Price Attitude toward Apparel Product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Vanity Typology vol.17, pp.2, 2015, https://doi.org/10.5805/SFTI.2015.17.2.203